세계 인구는 21세기 중반에 백억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백억의 인구를 먹여 살리는 문제에 인류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 책은 과거 1만 년 동안의 인구 성장과 농업기술 혁신 사이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한다. 이 같은 역사적 문맥으로 현 상태를 조명해 주며 지구촌의 식량안전보장을 위하여 가능한 미래의 길에 관해 이해를 돕는 책이다. 농업 분야의 학생과 교수, 인구 문제와 식량공급, 농업발전, 환경 파괴 및 자원 고갈과 관련된 공공기관의 정책입안자, 자문위원과 그 구성원에게 추천한다.
제1장 시한폭탄 또는 연자방아? 제2장 인구 500 만 명 도달(기원전 8천년까지) 2.1 서언: 고요한 천년시대 2.2 호주 원주민 2.3 도브 지역의 코이 산 족 2.4 아부 후레이라 유적지 제3장 인구 5천만을 향하여(기원전 8천-2천년) 3.1 서언: 유목에서 농경으로 3.2 이동경작 3.3 신석기 혁명 3.4 밀, 복잡한 작물 3.5 중국의 농업 3.6 벼, 적응 작물 3.7 아메리카 대륙 3.8 옥수수, 사실 같지 않은 순화 3.9 아프리카: 중심 또는 비중심 제4장 인구 5억(기원전 2천-서기1500년) 4.1 서언: 확장, 혁신 및 불안정 4.2 유럽으로 농업의 확산 4.3 인도로 향한 길 4.4 목축 유목생활과 말 4.5 경작용 쟁기 4.6 수메르의 곡물 생산량 4.7 구릉지 계단식 농업 4.8 치남파스와 마야의 붕괴 4.9 전설의 나일 강 4.10 토양 비옥도의 유지 4.11 중세의 유럽 농업 제5장 인구 10억을 향하여(서기1500-1825년) 5.1 서언: 자급영농에서 상업영농으로 5.2 콜럼버스의 영향 5.3 감자 유럽에 전파되다 5.4 베네룩스의 집약 영농 5.5 노퍽의 농업 ‘혁명’ 5.6 맬서스와 그의 인구론 5.7 아일랜드의 감자기근 제6장 인구 20억(서기1825-1927년) 6.1 서언: 과학의 등장 6.2 유스투스 폰 리비히와 식물영양 6.3 무기질 비료와 미생물 접종원 6.4 덩굴식물과 녹청: 식물 병의 화학적 방제 6.5 작물의 개량, 멘델 이전과 이후 6.6 일장과 콩 6.7 미량 양분의 골드러시 6.8 병충해와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 6.9 식물원과 식물 도입 제7장 인구 30억(서기1927-1960년) 7.1 서언: 투자와 상호작용 7.2 인간과 말을 대체한 기계 7.3 더 값싼 질소 비료 7.4 교잡종 옥수수, 상류사회 결혼 아니면 중매결혼? 7.5 침식의 유산, 보존의 희망 7.6 제초제로서의 호르몬: 2,4-D의 발견 7.7 DDT: 살충제 혁명 7.8 조직배양: 미래를 위한 트로이의 목마 제8장 인구 40억(서기1960-1975년) 8.1 서언: 개발에 초점 8.2 밀과 벼의 왜성화 8.3 수확지수의 상승 8.4 침묵의 봄: 수집 폭풍 8.5 단백질 결함과 고 라이신 옥수수 8.6 위도와 녹색혁명 8.7 농업 연구의 국제화 제9장 인구 50억(서기1975-1986년) 9.1 서언: 자원과 자원 풍부도 9.2 농업에서의 에너지 이용 9.3 최소 경운 체계 9.4 유전자원 9.5 종합 방제법: 패러다임 바꾸기 9.6 식물의 유전공학 제10장 인구 60억(서기1986-1998/9년) 10.1 서언: 한계의 인식 10.2 농경의 기술혁신 10.3 광합성 향상을 위한 도전 10.4 관개의 딜레마 10.5 새로운 표어, 지속성 제11장 세계가 현재 먹는 것 11.1 서언: 식량을 생각한다 11.2 식량 생산과 우리 지구의 식단 11.3 식량 공급의 지역적 변화 11.4 기아, 영양실조 그리고 빈곤 11.5 동물성 식량과 사료 11.6 식량 교역, 원조와 재고 11.7 미래의 몇 가지 계획들 제12장 인구 100억 부양 12.1 서언: 더 많은 식량 생산을 위한 방법 12.2 충분한 경지가 있을 것인가? 12.3 집약적 경영 12.4 수량 증가에 대한 의무 12.5 미래 식량 생산을 위한 자원 12.6 옛 작물과 새로운 작물 12.7 지구 기후 변화와 식량 공급 12.8 갈색혁명은 어떤 기회인가? 12.9 대체농업 12.10 농업인의 딜레마 12.11 얼마나 많은 사람을 위한 식량, 건강, 교육과 노동이어야 할까? 결어 참고문헌 약어와 생략부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