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에서 윤인진은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를 조사했다. 2007년과 2010년의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자료를 사용해서 확산기 이후 한국사회의 갈등의 양상을 진단했다. 제2장에서 윤상우는 경제갈등의 실태, 갈등당사자, 경제갈등과 관련된 정부정책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조사했다. 한국에서 경제갈등이 핵심적인 사회갈등으로 지속되는 역사적·제도적 맥락을 검토하고, 계층 갈등과 노사갈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갈등의 실태와 지형을 공공분쟁 추이를 통한 객관적 측면과 갈등의식조사를 통한 주관적 측면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 이소영은 한국인의 환경갈등과 4대강사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사업, 제주 해군기지 건설 등과 같은 대규모 토목사업들을 국민 상당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하면서 심각한 환경갈등이 재현되었다고 진단했다. 제4장에서 김선업은 일상생활 영역의 갈등과 소통에 대해서 분석했다. 일상적 사회관계는 거시적 사회구조의 반영인 동시에 거시적 사회구조를 재생산하는 토대라는 시각을 견지하며 일상생활의 갈등 양상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 한국인은 가족, 직장, 이웃 순으로 갈등을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5장에서 조윤경은 젠더질서의 변동에 따른 가족갈등과 아버지의 자녀양육 담론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서 연구했다. 제6장에서 윤인진·송영호는 한국인의 다문화적 소수자집단과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조사했다. 2000년대 초반에 보였던 온정주의가 후반에 들어와서는 냉담주의로 변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이런 변화는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접촉과 교류가 증가하면서 외국인 이주자들을 현실적인 경쟁자이자 사회문화적 문제의 원인이라 인식하게 된 것에 기인한다고 해석했다.
1장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 – 윤 인 진
2장 한국의 경제갈등—계층갈등과 노사갈등을 중심으로 – 윤 상 우
3장 한국의 환경갈등과 4대강 문제 – 이 소영
4장 일상생활 영역의 갈등과 소통 – 김 선 업
5장 젠더질서 변동의 긴장과 아버지 자녀 돌봄 – 조윤경
6장 한국인의 다문화적 소수자집단과 다 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 윤 인진, 송영호
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윤 인진
저자 : 윤인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국제이주, 자영업 및 사회이동, 인종관계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박사 후 연구원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UCSB) 아시안 아메리칸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와 교육 분야는 국제이주, 재외동포, 이민동포정책, 사회심리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On My Own—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1997),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북한이주민》(2009),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2013),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편저, 2017), 《재외동포 사회의 현황과 정책과제》(편저, 2018),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