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체제전환과 북한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미디어추천도서

저자 : 강성진, 정태용

판형 : 신국판 면수 : 284 쪽

발행년월일 : 2017-01-20

ISBN : 978-89-7641-922-4 93320

단행본 

가격 : 18000

이 책은 중앙집권 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한 41개의 경제체제전환국을 대상으로 체제전환의 과정, 전환정책의 내용 및 성과를 비교하고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현황과 앞으로 지향해야 할 전환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석과 제안은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로 향후 체제전환을 실시해야 할 북한까지 연구범위에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여 차별성이 있다.
1989년 독일통일, 1991년 소련붕괴를 겪으며 사회주의 국가들이 급격하게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전환하게 된다. 모든 체제전환국이 경제체제뿐만 아니라 정치체제까지 전환을 한 것은 아니었다. 이 책은 정치체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경제체제를 전환하는 국가를 모두 포함하여 경제체제전환국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소련체제하의 국가들뿐만 아니라 소련이 붕괴되기 이전에 경제적 체제전환을 시작한 동아시아 4국(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을 포함하여 최근 체제전환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알제리와 알바니아 등 아프리카 지역 국가들도 포함된다.
1980년대 후반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은 남미국가에 제안되었던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ensensus)는 체제전환과정에 실시된 정책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안정화, 세계화, 민영화, 자유화를 중심으로 체제전환 정책이 펼쳐졌고 체제전환국을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들도 이러한 네 가지 부문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만으로는 체제전환국의 전환정책을 분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이제 우리 사회는 워싱턴 컨센서스에 기반을 둔 기존의 체제전환 정책적 시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시장과 정부의 적절한 역할 분담에 대한 논의는 국가들 간의 특성을 반영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 성과라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사회와 환경까지도 아우르는 지속가능발전 차원에서 정책성과를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제전환의 정책과 성과의 연관 관계를 새로운 분석축인 지속가능발전 시각을 도입하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경험하고 칼레츠키(Kaletsky)가 주장한 자본주의 4.0의 시대에 직면하면서 시장과 정부의 관계에 대한 시각이 변화하고 있다. 시장 만능주의적 시각에서 더 나아가 국가나 정부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장 중심의 시각과 균형적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사상적 변화를 반영하여 과거 체제전환국들의 체제전환 경험을 생산적이고 효율적으로 북한의 체제전환과정에 반영시킬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하에서 저술되었다.

제1장 서론

제2장 경제체제전환과 워싱턴 컨센서스
2.1 중앙계획체제와 시장체제
2.2 중앙계획체제의 해체과정
2.3 경제체제전환 정의 및 주요 정책
2.4 워싱턴 컨센서스
2.5 워싱턴 컨센서스와 체제전환정책
2.6 자본주의 4.0과 체제전환 정책 방향

제3장 체제전환정책과 국가 그룹화
3.1 경제체제 전환 국가 분류
3.2 국가 그룹화에 대한 기존 연구
3.3 초기조건에 의한 국가 분류
3.4 체제전환 정책에 의한 국가 분류
3.5 체제전환 정책성과에 의한 분류

제4장 클러스터 분석을 통한 국가 분류
4.1 기존 연구 평가와 연구 방향
4.2 클러스터 분석 모형
4.3 경제 지표에 의한 국가 분류
4.4 지속가능발전 지표에 의한 국가 분류

제5장 경제전환정책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5.1 선행 연구
5.2 실증분석 모형
5.3 전체국가 대상 실증분석 결과
5.4 체제전환국 대상 실증분석
5.5 실증분석 결과의 시사점

제6장 베트남의 체제전환 경과와 성과
6.1 동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정책 경과
6.2 동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주요 경제성과
6.3 베트남의 체제전환정책 경과와 성과

제7장 헝가리와 러시아의 체전전환 경과와 성과
7.1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의 체제전환 정책과 성과
7.2 비셰그라드 국가의 체제전환정책과 성과

제8장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지표
8.1 북한의 자연
8.2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지표

제9장 북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9.1 정책성과에 대한 평가
9.2 기존 연구의 성과와 시사점
9.3 안정화, 자유화 및 개방화 정책과 시사점
9.4 민영화 정책과 시사점
9.5 북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저자 : 강성진

경력 現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그린스쿨 교수 現 고려대학교 지속발전연구소 소장 前 중국인민대학교 RDCY연구소 Senior Fellow 학력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고려대학교 경제학 학사, 석사 주요 저서 《국가재창조 3대전략》(한반도선진화재단, 2015) 《경제발전론》(근간)... more

저자 : 정태용

경력 現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前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前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기후변화전문가 학력 미국 뉴저지주립대학교 경제학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경제학 학사 주요 저서 《생물다양성, 경제로 논하다》(보문당, 2014) 《기후변화 27인의 전문가가 답하다》(지오북, 2016)...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