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전통음식 – 북촌 맹현(孟峴)음식을 중심으로

저자 : 이귀주

판형 : 신국판 면수 : 332 쪽

발행년월일 : 2012-06-30

ISBN : 978-89-7641-781-7 93380

단행본 

가격 : 17,000

‘맹현(孟峴)’은 흥선대원군의 둘째 형님이며 저자의 고조부인 흥완군 후손들이 대대로 살던 집의 이름, 즉 택호이다. 사대부 밀집지역인 북촌에 위치했던 맹현은 왕실과 반가 모두와 긴밀하게 교류하여 독특한 고급문화를 형성하였으며, 궁궐 밖 궁중음식이라 할 수 있는 맹현음식 또한 이러한 특징을 잘 반영한다.
유교문화권의 격식을 따르는 의례음식과 시절음식이 복잡할 정도로 세분화하여 발달했으며, 식재료와 조리방법 또한 다양해 손이 많이 가야 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완성된 음식은 은은한 품격과 정성이 배어 있어 음식 이상의 문화라 칭할 수 있었다.
맹현음식은 적지 않게 궁중음식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의 영양학적 측면 못지않게 시각적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일상식인 김치만 하더라도 ‘물 을 넉넉하게해 슴슴하게 담갔으며, 그릇에 담을 때는 마치 꽃이 핀 것처럼’ 세워 모양을 내었다. 우리가 쉽게 접하기 어려운 준치만둣국도 정성과 시간을 들여야 하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가시가 많은 생선인 준치를 쪄 살을 따로 바르고, 양지머리 장국을 만들고, 지단을 만드는 등 번다한 절차가 필요하지만, 그 맛이 ‘깊고 중후하여’ 잔칫상과 단오 절기음식으로 빠지지 않던 음식이다.
또한 구절판, 신선로를 비롯한 의례음식들은 우리의 전통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부합하게 빛깔과 가짓수를 맞추었다. 이러한 고급 음식문화와 대구를 이루는 시래기를 비롯한 주변의 흔한 나물류의 다양하고 알뜰한 활용은 절제의 미학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맹현음식은 물론 우리 전통음식의 가장 큰 특징은 음식과 약의 근원은 같다는 약식동원(藥食同源)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현대의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최근 우리는 우리 음식을 통해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는 노력을 하고 있다. 600년 전통의 서울음식을 세계적인 상품으로 특화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역사만큼이나 오랜 시간 음식에 축적돼 온 정신과 문화를 어떻게 전파할 수 있을지의 고민도 따라야 할 것이다.

 

1장 서론
1. 서울 전통음식의 특징
2. 조선시대 서울
3. 한성부의 자연물산
4.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2장 서울의 전통 의례음식
1. 세시풍속과 세시음식
2. 통과의례와 의례음식
3. 서울 전통음식의 종류

3장 맹현음식
1. 일상음식
주식
부식
2. 의례음식
3. 맹현음식의 특징

4장 맹현의 음식문화
1. 맹현의 일상식 상차림
맹현의 밥상
장국상
주안상
2. 혼례상차림
봉치떡
폐백음식
어머니의 신부례
3. 젯상차림
화상다례
젯상
4. 반빗간 반비다치 동자치 등 식생활 문화

5장 맺음말

6장 맹현음식 따라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 이귀주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졸업(학사) 고려대학교 농화학과 대학원(석사) 프랑스 파리 XI대학(이학박사) 대구직할시 계명대학교 이과대학 가정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조교수 부교수 고려대학교 여학생감미국 코넬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편집이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재무이사 상임이사 동아시아식생활문화학회 편집이사 주요 논문〈Rice bran Lipoxygenas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공저, 1982)〈비지의 발효과정 중 발효미생물 및 성분변화〉(1987)〈품종별 한국산 감자슬라이스의 냉장 중 polyphenol oxidase, phenol 함량 및 갈변정도의 변화〉(1995)〈Inhibito...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