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희곡사

2005년 문화관광부 추천도서(학술부문)

저자 : 서연호

판형 : 신국판 면수 : 318 쪽

발행년월일 : 2004-09-15

ISBN : 89-7641-523-X

인문사회과학총서 58

가격 : 12,000

희곡의 문학적 특성
희곡 텍스트는 시대와 지역과 무대에 따라 무수한 상연 텍스트를 생산해냈다. 상연은 일회성에 국한되기 때문이다. 희곡 텍스트는 일회성을 초월하여 혹은 시대성·지역성·무대를 초월하여 언제라도 새롭게 해석되고 상연될 수 있는 잠재적인 구조이자 열린 창작품으로서 영속성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희곡의 문학적 특성이다. 희곡은 시적 서정성과 소설적 서사성을 무대 공간에서 살아 있는 극적 행동으로 표현하면서 강인한 문학성을 지속시켜 왔다. 현대희곡은 현대극의 하위범주의 하나이자 문학장르의 하나이기도 하다. 그것은 공연(公演)되는 문학이고 연행(演行)되는 문학이기 때문이다.
《한국현대희곡사》는 그동안 한국근대극연구를 집대성한 고려대학교 국문과 서연호 교수가 펴낸 것으로 1960년부터 2004년 현재까지의 대표적인 희곡들을 양식별로 살펴본 것이다. 1부 근대 양식의 지속과 전개, 2부 서구양식의 수용과 창조, 3부 전통양식의 계승과 발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양식의 계승과 서구양식의 수용
한국 현대극은 ‘탈사실주의’라는 뚜렷한 미학적 지향을 보여주는데 이는 근대극과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현대극만의 고유한 특성이다. 1960년대 이후 탈사실주의의 흐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전통양식의 계승이 그 하나요, 서구양식의 수용이 다른 하나이다. 이 두 가지 흐름이 길항관계를 형성하면서 변증법적으로 발전해온 과정이 곧 한국 현대연극사이다. 전통연극의 계승 흐름은 굿극, 탈춤극, 꼭두극, 재담극, 마당극, 가무악극 등의 다양한 양식적 분화를 가져왔다. 서구연극의 수용은 사실극, 희극, 서사극, 부조리극, 신화극, 뮤지컬, 잔혹극·개방극의 양식을 낳았다. 이 두 흐름은 표면적으로는 상이하고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미학적으로는 긴밀한 연관성과 근친성을 보여준다. 즉 굿극-신화극, 탈춤극-서사극, 꼭두극-부조리극, 재담극-희극, 마당극-사실극, 가무악극-뮤지컬로 각각 대응되며 잔혹극·개방극은 이 동서양 연극의 두 흐름을 변증법적으로 통합한 산물로 이해될 수 있다. 저자는《한국현대희곡사》에서 오늘날 연극이 새롭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동서양의 연극전통을 상호 보완적 관계로 보는 열린 시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연극은 고유의 연극적인 유산을 주체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서구양식과의 만남을 통해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가 다시 씌어지듯이 희곡사도 언제나 새롭게 씌어져야 한다.

서설 현대희곡의 양식과 시대구분

Ⅰ. 근대양식의 지속과 전개

1. 사실극
사실극·마당극/1960년대의 사실극/사실극의 대표작가, 차범석/사실극의 다층화/
1980년대의 사실주의/윤조병의 ‘농촌’·‘광산’ 연작/후기 산업사회와 사실극/
재외작가 한진·유미리의 사실극

2. 희극
희극·희비극/현대 희극의 개척자, 오영진/로맨틱 코미디의 성황/풍자희극의 정착/
1990년대 이후의 희극/쓰카코헤이의 충격

3. 역사극
역사극의 인식/김의경의 역사극/김상렬의 역사극/1970년대의 역사극/1980, 90년대 역사극/
2000년대의 역사극

4. 창극
창극·국립창극단/5가·창극 연출/신창극의 모색/창극의 과제

Ⅱ. 서구양식의 수용과 창조

1. 서사극
브레히트·서사극/서사극의 전도사, 이근삼/이재현의 등장/1980년대의 서사극/
오태석과 한국적 서사극/김석만과 서사극의 정착/1990년대 이후의 서사극

2. 부조리극
부조리극·반연극/오태석과 부조리극의 시도/부조리극의 다양한 실험/
이현화와 부조리극의 정착/임영웅 연출의〈고도를 기다리며〉

3. 신화극
살아 있는 신화·원형/최인훈과 신화극의 대두/이강백의 신화극/신화적 요소의 다양한 활용/
이윤택과 신화극의 심화/재일동포 정의신·김수진의 충격

4. 잔혹극·개방극
개방과 참여/오태석의 잔혹극/이현화의 잔혹극/1980년대의 개방극/1990년대 이후의 개방극

5. 뮤지컬
가극·악극·뮤지컬/뮤지컬의 창작/뮤지컬의 영역 확대/뮤지컬의 시대

Ⅲ. 전통양식의 계승과 발전

1. 굿극
샤먼의 연극/‘굿극’의 창조/굿극의 모색과 전개/굿의 계승과 문화상호주의/
이윤택과 굿극의 정착

2. 탈춤극
가면극의 전승/탈춤극의 대두와 실험/탈춤극의 대부, 이승규/탈춤극의 과제

3. 꼭두극
현대 ‘꼭두극’/꼭두극의 선도자, 심우성/꼭두극의 다양한 시도

4. 재담극
기지에 찬 화술극/1970년대의 재담극/오태석의 재담극/1980년대 이후의 재담극

5. 마당극
마당극·노동극·민족극/마당극과 시대정신/마당극의 전성기/노동극의 대두

6. 가무악극
전통음악과 음악극/극단 민예의 가무악극/1980년대의 가무악극/서울예술단의 가무악극/
1990년대 이후의 가무악극

결어 한국 현대희곡의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작가·작품 찾아보기

저자 : 서연호

1941년 강원도 고성에서 출생 현재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서 『한국가면극의 현장전승연구』(1987~1991) 『한국근대희곡사』(1994) 『식민지시대의 친일극연구』(1997) 『한국근대극작가론』(1998) 『한국연극사 - 근대편』(2003) 『한국전승연희학 개론』(2004) 『생동하는 무대를 찾아서』(2004) 등 다수...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