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조명한 동아시아의 리더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4개국에서 선정한 26명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정치 분야에서 활약했지만, 이뿐만 아니라 종교와 사상, 역사와 문화, 의학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는 리더십의 의미가 비단 정치 지도자의 능력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더십의 유형에서 살펴본 것처럼 리더십은 인적자원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측면 외에도 장기적인 전략 수립, 전문 영역 구축, 혁신 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발휘되는 역량이다.
-본문 중에서
책머리에 ………………………………………………………………………………………………………….. 5
I. 동아시아 시대의 리더십
1.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11
2. 동아시아의 리더들 …………………………………………………………………………………. 29
II. 한국의 리더와 리더십
1.김유신 …………………………………………………………………………………………………….. 37
2. 원효………………………………………………………………………………………………………… 41
3. 장보고…………………………………………………………………………………………………….. 47
4. 서희 ……………………………………………………………………………………………………….. 51
5. 세종대왕………………………………………………………………………………………………….. 55
6. 이순신…………………………………………………………………………………………………….. 59
7. 정약용…………………………………………………………………………………………………….. 63
8. 안창호…………………………………………………………………………………………………….. 70
9. 백남준…………………………………………………………………………………………………….. 77
III. 중국의 리더와 리더십
1. 사마천…………………………………………………………………………………………………….. 87
2. 주희 ……………………………………………………………………………………………………….. 93
3. 장거정…………………………………………………………………………………………………….. 98
4. 황종희……………………………………………………………………………………………………104
5. 황육홍……………………………………………………………………………………………………110
6. 손문 ………………………………………………………………………………………………………115
7. 노신 ………………………………………………………………………………………………………120
8. 모택동……………………………………………………………………………………………………126
IV. 일본, 베트남의 리더와 리더십
1. 히미코 여왕 …………………………………………………………………………………………..133
2. 쇼토쿠 태자 …………………………………………………………………………………………..137
3. 덴치……………………………………………………………………………………………………….142
4. 스가와라노 미치자네………………………………………………………………………………148
5. 후지와라 미치나가 ………………………………………………………………………………..155
6. 오다 노부나가…………………………………………………………………………………………165
7. 미야자키 하야오……………………………………………………………………………………..172
8. 진흥도……………………………………………………………………………………………………179
9. 호찌민……………………………………………………………………………………………………185
저자 : 박대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한국사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고대사를 전공하고 있다. 공군사관학교 역사철학과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미국 남가주대학 한국학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와세다대학 문학학술원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의식과 전쟁―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고대한국 초기국가의 왕과 전쟁》, 《중국 고문헌에 나타난 고대 조선과 예맥》, 《점교 삼국유사》(공저), 《(역주) 삼국유사》(공저), 《한국 상고문화와 중국 동북지방》(공저)등이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