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가슴 작은 손 -정한숙 수필 선집 및 헌정 산문

저자 : 일오 정한숙 선생 탄생 백주년 기념사업회 엮음

판형 : 신국판 면수 : 284 쪽

발행년월일 : 2022-11-03

ISBN : 979-11-6956-002-3 04810

단행본 

가격 : 18,000

2022년은 일오(一悟) 정한숙(鄭漢淑, 1922-1997) 선생이 태어난 지 백주년 되는 해이다. 선생은 전후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지식인과 예술가, 현대인과 역사적 인물 등 하나로 갈피 지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인간상을 소설에 선보였다. 그러나 이 중 이 땅의 현실과 관련되지 않은 이는 한 명도 없었다. 선생은 자유분방한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그 안에 시대 정신을 투영하며 당대 독자에게 피폐한 현실을 견디는 동시에 극복하는 힘을 제공했다.
이 책의 1부에는 선생의 영결식 때 낭독된 조시와 조사, 2부에는 고향과 일상, 소설과 교육 등에 대해 선생이 남긴 수필, 3부에는 선생을 기리는 27명의 제자와 유족의 회고 산문이 담겨 있다. 문학 작품에서는 흐릿했던 선생의 인간적인 면모가 이 책에서 선명히 드러나기를 기대한다.

제1부 정한숙 형을 보내며 ― 영결식 조시·조사
정한숙 형을 보내며 · 조병화
훗날 다 함께 다시 만나리니 · 김남조
우리 선생님 · 오탁번
조사 · 전숙희
고별사 · 홍일식

제2부 꿈으로 오는 고향내음 ― 정한숙 수필
꿈으로 오는 고향내음
꽃신
작품 속에 살아 있는 보살들
언제나 공직을 떠날 때를 생각하라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학같이 조촐하게 살자던 어린 날의 향수
영변 약산 동대
나와 함께 살아가는 명작(名作) — 식민지의 애증과 사랑과
문학하는 우리의 태도
딱한 마음
방황 30여 년
나의 명천옥 시대
잡초동산
하얀 쪽배
6월의 사념
산은 인생의 도량 —젊은 알피니스트들에게

제3부 큰 산 같은 스승 ― 정한숙 헌정 산문
나의 문학과 교육인생을 이끈 현장 교과서 · 고형진
일오 정한숙 선생님을 그리고 기리며 · 김미혜
정한숙 선생과 ‘국문학 연습(3학점)’ · 김보한
낭만시대 · 김인환
정한숙 제자라고 말해 · 김종성
정한숙 선생님을 지도교수로 모시고 · 김춘미
우리의 자랑이었던 정한숙 선생님 · 문창재
큰 산 같은 스승 —정한숙 선생님 탄신 백주년을 추념하며 · 민충환
“작가는 작품을 쓸 때가 가장 행복한 거야.” —일오 정한숙 선생 탄신 100주년에 부치는 글 · 박도
일오(一悟) 선생님을 그리며 · 박정규
‘낭만’ 그리고 산까치야 —산수(傘壽)에 기억하는 스승의 그림자 · 서병준
그리운 편파 · 서종택
영변에 약산 호랑이는 · 송하춘
큰 가슴과 작은 손 · 오탁번
일오(一悟) 정한숙(鄭漢淑) 선생을 그리다 · 원동은
더불어 또 한 분의 동갑을 추모하며 · 유만상
큰 나무 아래서 놀던 때 · 윤석달
금당벽화 정한숙 선생님을 그리며 · 이경혜
가슴 따듯하신 참스승 · 이계진
아! 로맨티스트 일오(一悟) 선생님 그립습니다! · 이규항
세 개의 유쾌한 기억 · 이남호
그리운 교수님! 고마운 은사님! 경조사 아드님! · 이은집
스승께서는 호연지기를 가르치셨으되 —고 정한숙 선생님에 관한 몇 가지 추억과 회한 · 이희중
나의 아버지, 정한숙을 추억하며 · 정지태
늦어도 너무 늦은 반성문 · 주철환
화강암과 나무들 그리고 학 —일오(一悟) 선생님을 추모하며 · 최동호
〈울릉도 답사〉와 〈폐광〉 · 최학
정한숙 생애 연보
헌정 산문 필자 약력

저자 : 일오 정한숙 선생 탄생 백주년 기념사업회 엮음

일오一悟 정한숙鄭漢淑(1922. 11. 3-1997. 9. 17) 평안북도 영변에서 출생하였다. 1946년 단신 월남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47년 전광용·정한모·전영경 등과 ‘주막’ 동인을 조직하였고, 〈흉가〉를 《예술조선》(1948. 3)에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1955년 〈전황당인보기〉와 〈황진이〉를 《한국일보》에, 〈금당벽화〉를 《사상계》에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50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휘문고등학교 교사(1952-1958)와 고려대학교 교수(1957-1987)를 거치며 160여 편의 단편소설과 17편의 장편소설, 8권의 저술 등 왕성한 창작 활동과 저술 활동을 펼치면서 후진들을 양성했다. 제1회 내성문학상(1958), 제15회 대한민국...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