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눈으로 본 지방사회

저자 : 송양섭, 도주경, 송기중, 신진혜

판형 : 신국판 면수 : 404 쪽

발행년월일 : 2025-02-28

ISBN : 979-11-6956-096-2 93910

단행본 

가격 : 25,000

이 책은 조선의 왕조 지배체제가 어떻게 지방사회와 만났는지에 대하여 조선 후기 사상사 연구에 있어 학문적 조명의 중심에 서 있는 다산 정약용의 시점을 통해 다각적인 조망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서로 고려대학교 조선후기사 연구실에서 개진된 연구를 바탕으로 아홉 명의 필자가 힘을 더하여 완성하였다.
실학 연구가 각광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된 정약용에 대한 연구는 실학이 하나의 학적 범주로 자리 잡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애민의식, 도덕적 규범 등 교훈적인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것 외에 그의 저술 중 상당수는 실학의 근대성을 증명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정약용은 현실의 모순에 정면으로 맞서 자신의 이상을 담은 새로운 제도 개혁을 추구하는 데 평생을 쏟아부었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이르는 ‘일표이서(一表二書)’를 비롯한 수많은 저술에는 당대 사회 문제에 대한 고민과 새로운 국가체제에 대한 정약용의 구상이 두루 담겨 있다. 지방관 경험과 오랜 강진 유배 생활을 바탕으로 생생한 현장감을 담은 구체적인 논의로 채워진 이 저술들은 조선 후기 정약용의 사회개혁론이 갖는 의미와 성격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전한다.
정약용이 생각한 국가의 물적 토대를 위한 전제와 재정·호구·군사 문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정전론과 재정·군사개혁안’과, 지방세력으로서 사족·상사로서 감사·예하 실무인력으로서 향리 등과 관련된 수령의 처신과 업무 지침을 다룬 ‘향촌사회의 현실과 지방통치론’이라는 두 개의 부로 구성된 이 책은 정약용이 구상한 국가체제에 대하여 크고 작은 층위의 담론을 망라한다. 정약용이 당시 사회적 문제에 맞서 개혁하고자 한 군사제도와 국가재정, 호구·군정·민고 운영은 물론 사족의 위상 저하에 대한 대처, 수령에 대한 감사, 향리에 대한 관리 방안, 수령 주관 의례의 정비 방안까지 조선 사회 각 지역의 현실에 맞춘 정약용의 구체적인 통치 방안과 대안을 살펴보며 우리는 정치적 불운을 딛고 학문적 실천을 통하여 자신의 포부를 펼치고자 분투한 치열한 지식인 정약용이 꿈꾼 이상적 사회와 아울러 현재 체제에 대한 절충을 동시에 만나 볼 수 있는 색다른 기회와 조우할 수 있다.
18-19세기, 조선의 지방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현실과 함께 ‘실학’의 담론이 갖는 사학사적 의미를 낯설게 바라보는 이 연구서는 오랫동안 통설적 지위를 누려 온 조선 후기 시대상에서 벗어나 조선 사회를 한 발짝 더 가까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조선 후기 사회사상 연구의 새로운 지평으로 남을 것이다.

1부 정전론과 재정 · 군제개혁안

엄기석 | 정전제론과 병농일치적 군제개혁안
1. 머리말
2. 정전제론과 ‘병농일치’ 실현 계획
3. 군사제도 개혁과 운영 방식
4. 맺음말

최주희 | 국가재정 인식과 개혁구상
1. 머리말
2. 19세기 전반 중앙재정의 실태
3. 다산 정약용의 전정(田政) 인식
4. 전정 개혁을 위한 토지구획 정비
5. 세입 확충을 위한 개선방안
6. 맺음말

송양섭 | 핵법과 관법, 그리고 호구운영
1. 머리말
2. 핵법의 원칙과 관법의 순속
3. 호적개수와 호구파악의 현실
4. 가좌의 작성과 입호(立戶)방식
5. 맺음말

송기중 | 지방군비의 실태와 군정운영론
1. 머리말
2. 정약용의 군역 문제 인식
3. 군역의 공정한 면리 분배와 대정의 개선
4. 군현의 무풍 진작과 이노대 강화
5. 맺음말

전상욱 | 지방재정과 민고운영론
1. 머리말
2. 18세기 지방재정의 재편과 민고 운영
3. 민고 운영상의 문제와 정약용의 인식
4. 《금산현민고절목》에 반영된 정약용의 민고 운영개선 구상
5. 맺음말

2부 향촌사회의 현실과 지방통치론

도주경 | 향촌통치구상과 사족위상강화론 —백성 구별짓기와 노비세습제 복구론
1. 머리말
2. 19세기 향촌통치 양상과 정약용의 현실 인식
3. 변등적 사회질서 재편과 사족 위상 강화론
4. 맺음말

임성수 | 지방관의 위상과 감사론
1. 머리말
2. 18세기 감사의 위상과 제도적 변화
3. 다산의 현실인식과 감사제 문제
4. 고제복구와 상호견제를 통한 감사 역할론
5. 맺음말

이주영 | 지방행정과 향리관리
1. 머리말
2. 향리 문제의 소재와 정약용의 향리 인식
3. 정약용의 향리 처우와 인사 관리
4. 맺음말

신진혜 | 군현의례의 실상과 체계정비의 필요성
1. 머리말
2. 조선 군현의례의 실상과 인식
3. 지방통치와 군현의례의 정비
4. 맺음말

저자 : 송양섭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역사학회 부회장, 도쿄대학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논저로 《18세기 조선의 공공성과 민본이념 — 손상익하의 정치학, 그 이상과 현실》(2015), 《동아시아의 근대 장기지속으로 읽는다》(2021, 공저), 〈19세기 부세 운영과 ‘향중공론’의 대두〉(2016), 〈19세기-20세기 초 거제 구조라리의 동중과 동전의 운영〉(2021), 〈대동법 실시와 ‘삼정체제’의 성립 — 역에 의한 지배에서 재정에 의한 지배로〉(2023) 등이 있다.... more

저자 : 도주경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기대학교 사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18세기 내시노비 비총제의 시행과 운영〉(2019), 〈정약용의 향촌통치구상과 사족 위상 강화론 — 목민심서 변등절을 중심으로〉(2020), 〈조선후기 노비의 계 조직과 운영 — 18세기 진주 마진촌 한글 노비계 문서를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more

저자 : 송기중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조교수 충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충무공 연구담당을 역임했다. 주요 논저로 《조선 후기 수군연구》(역사비평사, 2019) 등이 있다.... more

저자 : 신진혜

광주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 한학 과정을 수료했으며, 스탠퍼드대학교 역사학과 방문연구자, 고려대학교 강사, 건양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다. 주요 논저로 《조선시대 의례 연구의 현황과 지평의 확장》(2022, 공저), 《외규장각 의궤 연구 6—공신녹훈》(2022, 공저), 《종묘와 종묘제례》(2024, 공저), 〈임진전쟁기종묘의 소실과 재건 과정 연구〉(2018), 〈정조 2년(1778) 영조 · 진종의 부묘(祔廟)와 체(禘)의 기록〉(2023), 〈조선후기 각도(各道)의 천신진상(薦新進上)과 그 예헌(禮獻)의 의미〉(2024) 등이 있다.... more

저자 : 엄기석

공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조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경인교육대학교 · 덕성여자대학교 ·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다. 주요 논저로 《조선시대 경기 연구》(2019, 공저), 《전쟁 미시사—일기를 통해 본 조선시대 전쟁의 이면》(2024, 공저),〈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한 조선후기 군현도로 복원〉(2023), 〈조선후기 도서 지역에 대한 행정 편제 변화〉(2024), 〈《부역실총(賦役實摠)》에 나타난 황해도 지방재정의 운영 구조와 특징〉(2024) 등이 있다.... more

저자 : 이주영

성남시 학예연구사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남시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more

저자 : 임성수

평택대학교 피어선칼리지 조교수 충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학술연구원과 고려대학교, 충남대학교 등에서 강사를 지냈다. 주요 논저로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2013, 공저), 《조선시대 한성판윤 연구》(2017, 공저), 《경복궁중건 천일의 기록》(2019, 공저), 《사방의 근본, 경기관찰사의 성분과 역할》(2020, 공저), 《광화문 앞길 이야기》(2021, 공저), 《홍범연의》(2023, 공저), 〈19세기 전반 전세(田稅) 수입 감소와 양전(量田) 추진〉(2023), 〈19세기 중반 환곡(還穀)의 감소와 충완(充完) 시도〉(2024), 〈균역법의 논의 과정과 한계점〉(2024) 등이 있다.... more

저자 : 전상욱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조교수 충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조교수로 재임 중이다. 주요 논문은 〈조선후기 강원도지역의 공납제 개혁과 대동 · 상정법 시행〉(박사학위논문, 2022), 〈17세기 전반 강원도 대동법의 시행과 운영〉, 〈가와이문고(河合文庫) 소장 《춘천읍사례(春川邑事例)》를 통해서 본 19세기 춘천의 재정 운영〉, 〈조선후기 삼척지방의 인삼 수취와 火蔘田 운영>, 〈17세기 제주도 주민 김태황 일행의 안남국(安南國) 표류와 체험〉 등이 있다.... more

저자 : 최주희

덕성여대 글로벌융합대학 사학전공 조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역사전공)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UCLA Center for Korean Studies 방문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을 지냈다. 주요 논저로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2013, 공저), 《공폐—조선후기 공물 제도 운영의 병폐》(2019, 공역), 《한양의 여성공간》(2021, 공저), 《서울과 지방의 매개체, 경주인》(2024), 《영・정조 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2025) 등이 있다....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