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편집자들이 의도한 것은 요즘처럼 학제간 연구가 활발한 시점에서 학문 전반을 아우르는 공통의 논리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를 이들은 ‘탐구의 수사학’이라고 총칭한다. 이들은 전문화되고 따라서 편린화(片鱗化)된 각각의 학문분야가 암시하는 것보다는 논증은 훨씬 통일성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논증이란 말의 논리인데, 모든 인문과학이 말의 논리에 의존하는 이상 이들은 수사학, 즉 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의 공통된 장치들, 예를 들면 비유, 권위에의 의존, 독자나 청중의 반응에 호소하기 등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수사적 장치들은 특정한 상황과 경우에 따라서 그때그때 어울리는 적합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논증의 일반적인 통일성을 고집하는 것은 실용적인 논리를 고정된 틀 속에 옭아매는 잘못을 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탐구의 수사학은 학문 일반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통일된 논증을 주장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실증주의 철학이나 여기에 근거한 과학이론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논증의 다양성을 주장한다. 각 학문 분야는 그 학문의 고유한 특성상 그들 나름의 수사적 장치와 유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의해서 그 학문이 정의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탐구의 수사학이란 탐구, 즉 논증과 연구의 방법론에 깃들어 있거나 이들이 함축하고 있는 수사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지향한다고 말할 수 있다.
1장 탐구의 수사학
존 넬슨, 앨런 메길, 도날드 맥클로스키
2장 소피스트 철학의 현주소와 수사학의 통일
마이클 C.렙
3장 연대로서의 과학
리처드 로티
4장 수사학과 수학
릴립 J. 데이비스, 루벤 호쉬
5장 찰스 다윈 – 과학의 수사가
존 앤거스 캠벨
6장 객관성은 어디에 있는가 – 인류학의 수사학
레나토 로살도
7장 실낙원 – 인간의 진화에 나타난 지상성
미시아 란다우
8장 사회과학 글쓰기의 규범 – 행동주의적 수사법으로서
미국 심리학회의 <논문 작성법>
찰스 배저만
9장 심리학을 그 자체로 돌리기 – 심리학의 수사와 수사의 심리학
도날 E. 칼스톤
10장 마치 경제학자들과 그들의 학문이 합리적인 것 인양
아르조 클래머
11장 수사학적 이성 – 인식론, 담론, 실천의 관계에 대해서
리처드 하비 브라운
12장 정치와 과학의 이야기 – 정치적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수사학
존 S. 넬슨
13장 역사의 수사학
앨런 메길, 도날드 맥클로스키
14장 인문과학에 있어서 언어의 결점에 대하여
제랄드 L. 브런즈
15장 문학 해석과 인문학의 수사학
폴 헤르나디
16장 신학 논증 수사학
데이비드 E. 클램
17장 수사학과 법 – 문화적이고 공동체적인 삶의 기술들
제임스 보이드 화이트
18장 여권주의자의 정치 수사학과 여성연구
진 베스키 앨스타인
19장 인문과학과 자유주의 정체 – 그 수사학적 관계
찰스 W. 앤더슨
20장 사회과학의 수사학 – 학자의 정치적 책임
마이클 샤피로
21장 당신처럼 점잖은 사람들이 이와 같은 장소에서 무엇을 하고 있나요?
– 지식 요구를 수사학적으로 다루는 것의 몇몇 함의
마이클 캘빈 맥기, 존 R. 라인
22장 일곱 가지 탐구의 수사학 – 하나의 도전
존 넬슨
역자 : 김성도
1963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고려대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에서 언어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1년-1992년 파리대학-미국대학의 교환학생으로 선발되어, 뉴욕 시립대학교와 MIT에서 연구하며 제럴드 카츠(Jerrold Katz)와 노암 촘스키의 세미나를 수강했고, 1994년 세계 기호학회 공식학술지 《세미오티카(Semiotica)》에서 수여하는 최우수 논문상(Mouton d’Or)를 수상했다. 옥스퍼드대학, 하버드대학, 케임브리지대학의 초청을 받아 방문교수 자격으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영상문화학회 회장, 고려대 영재교육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 세계기호학회 부회장 직을 맡고 있으며 집행위원이다. 《세미오티카》의 편집위원이이며, 국제 소쉬르 연...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