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5백여 년 동안 주도 종교이자 지배이데올로기로서 압도적인 지위에 있던 유교적 가치체계가 해체된 후, 이 땅에는 수많은 종교들이 개화하여 가위 종교백화점을 방불케 하는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 책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명멸했던 숱한 종교운동의 교리체계를 상술하는 한편 주로 민족사적 관점에서 그 전말을 밝히고 있다.
조선조 종교문화의 성격과 종교운동의 분화를 총론으로 제시하며, 이어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 면면히 이어져온 미륵신앙운동과 비결신앙운동, 조선후기사회의 모순과 유교적 가치체계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생적으로 유입된 천주교 신앙운동, 제국주의에 의해 강제된 개항과 더불어 외부에서 유입된 한국 개신교의 수용과 성격 형성 등을 차례로 다루고 있다.
조선조의 유교 가치체계가 설득력과 정당성을 상실하게 됨에 따라 나타난 반응은 크게 세 측면으로 범주화된다. 하나는 보유론적 입장, 즉 유교의 모순과 한계성을 자체적으로 보완 극복하려는 태도로서 유교사상에 결핍되어 있거나 부족한 부분을 그리스도교의 교리로 보완시켜 주는 소위 보유론적 선교방식이며, 두 번째는 소외되고 억압받아 온 민중이 사회 변화와 함께 자신들의 욕구와 열망을 체계화하려고 했던 민중종교운동, 그리고 성리학적 가치에 위협이 되는 일체의 사상을 단호히 배격함으로써 위기의 조선왕조체제를 고수하려 했던 척사위정운동, 이 세 가지가 그것이다. 보유론은 서학운동과 천주교회 창립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형은 19세기 천주교신앙운동과 미륵신앙운동, 각종 참위설 내지 정감록 관련 운동,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운동 등의 민중종교운동의 맥락 속에 있다.
조선 후기의 사회해체 상황과 조선왕조의 멸망, 일제강점기의 억압과 수탈, 해방과 분단 및 전쟁, 그리고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등 한국 사회가 겪어 온 여러 변화들은 민중에게 수난과 고통 그리고 상대적 박탈감 등을 안겨 주었고, 그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들이 겪는 경험들을 해석할 의미 체계를 모색하게 됨으로써 우리 민족 속의 종교적 열기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로서 우리나라는 세계 종교사에서 유례없는 양적 성장을 기록했다.
수백억의 건축비를 들여 교회를 짓고 있는 이 땅에서 종교는 질적 성장과 더불어 올바른 자체 문화의 형성을 모색해야만 할 시기를 맞고 있다. 새로운 문화는 종교지도자들이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며, 저마다 신자이기도 한 각각의 독자들이 객관적인 눈으로 한국의 종교현상을 잘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새로운 종교문화의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제1장 조선조 종교문화의 성격과 종교운동의 분화
1. 조선 전기 국가유교의 제도화와 그 성격
2. 조선 후기의 사회해체 상황과 그에 대한 대응 방식
3. 조선 후기 종교운동의 분화와 성격
제2장 미륵신앙운동과 비결신안운동의 전개
1. 새로운 세계의 도래와 메시아운동
2. 한국 사회에서의 미륵신앙의 수용과 전개
3. 조선 후기 민중의 동요와 민중운동의 전개
4. 미륵신앙과 비결신앙이 근대 종교운동에 끼친 영향
5. 미륵신앙과 비결신앙의 과제
제3장 천주교 신앙운동의 전개와 성격
1. 서학운동의 전개
2. 교회 창립기의 신분 구성과 신앙 특성
3. 박해의 발생과 수용 계층의 변화
4. 민중종교운동으로의 전환
제4장 한국개신교의 수용과 성격 형성
1. 개신교의 수용 과정
2. 선교사들의 신앙 유형과 한국 사회에 대한 태도
3. 초기 선교사들의 활동
4. 선교 정책
5. 수용 계층과 수용 동기
제5장 한국 신종교운동의 성격
1. 한국 신종교운동의 전개 과정
2. 주요 신종교의 창교 과정
3. 한국 신종교운동의 사상적 특성
제6장 그리스도계 천년왕국운동의 전개와 성격
1. 천년왕국 신앙의 성격
2. 한국 사회에서의 천년왕국운동의 전개 과정
3. 천년왕국운동에 나타난 한국의 미래
4. 천년왕국의 도래를 위한 인간의 역할
제7장 신영성운동의 전개와 성격
1. 신영성운동의 전개
2. 신영성운동의 유형과 특성
3. 신영성운동의 함의
제8장 광복 이후 한국 종교와 정치 간의 관계
1. 해방공간에서의 종교와 정치 간의 관계
2. 이승만 정권 하에서의 종교와 정치 간의 관계
3. 박정희 정권 하에서의 종교와 정치 간의 관계
제9장 한국 종교문화의 성격과 과제
1. 광복 이후 한국 종교계의 변화 과정
2. 한국 종교문화의 성격
3. 한국의 종교문제
4. 건전한 종교문화의 형성을 위한 방안
저자 : 노길명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앙신학교 조교수와 강남 사회복지학교(현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 부교수를 거쳐 1982년부터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회외 종교 운동》(빅벨출판사, 1988),《가톨릭과 조선후기 사회 변동》(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한국신흥종교연구》(경세원, 1996)《한국민족종교운동사》(공저, 한국민족종교협의회, 2003),《민족사와 천주교회》(한국교회사연구소, 2005) 등의 20여권의 저서 및 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국신종교 운동의 성격>, <한국 민족종교 운동의 회고와 전망>, <한국 종교 문화의 성격과 과제> 등 150여 편이 있...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