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도서
한국의 주택
한국 고건축 학계의 1세대 연구자이자 전통 건축 복원과 보존에 진력을 다한 고 주남철 교수의 유작 《한국의 주택》이 별세 1주기를 기념하며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타계하기 직전까지 애정을 기울여 교정을 거듭했던 결과물로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사람은 생활에 필요한 공간을 상고시대부터 찾고 구축해 왔다. 곧 ‘주거’를 위한 공간을 주택이라 명명했으며, 주택은 자연환경, 시대, 지역, 문화에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변모해 왔다. 한국의 전통 주택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이나 일본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채棟와 간間의 분화로 각 공간의 독립성을 추구...
회복력 원칙 -사생계에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
인류가 겪었고, 겪고 있으며, 겪어갈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그 모습이 인류가 진화해 온 터전에서 풍요로운 삶을 지속하게 할 수 있을까? 지속할 수 없다면, 인류의 미래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어 놓을까? 우리의 생존은 물론이고 풍요의 기반인 지구생태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걸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런 의문들에 답을 구하고 대응하기 위한 세계관의 하나가 우리의 터전 (생태계)과 삶 (사회계)은 분리할 수 없는 한 몸의 복잡적응계이며, 그 안에 깃들어 있는 유기체 모두와 그를 둘러싼 환경의 상호 작용이 미래를 그려낼 것이라...
러시아 현대시의 해석
이 세상에 오로지 한 편만 존재하는 만델슈탐의 시와 딥러닝이라는 차가운 처리 과정을 통해 무한히 복제되는 모종의 텍스트 간의 차이를 굳이 지적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시인의 전 생애와 그가 속한 시대 전체를 담고 있는 아흐마토바의 시와 수천억 개의 매개변수에 의존하는 저자 없는 텍스트 간의 차이 또한 지적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수만 편의 평론과 연구서를 창출한 푸시킨과 단 한 편의 평론도 필요로 하지 않는 알고리즘 간의 차이도 마찬가지다. 아이러니하게도 인공지능이 작성한 시는 인간이 쓰는 시가 왜 필요한지, 시를 읽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시를 읽을때 무엇을 고려...
추천 도서
민법학원론 제2판
『민법학원론』 제2판은 5년 만의 개정판이다. 단순히 민법의 조각을 열거하며 서술하기보다는 개념 또...
헤게모니의 미래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의 대안은 무엇인가? 이 책은 1991년부터 2019년까지 30여 년의 시...
기념의 미래
이 책의 [미디어서평] 보기 [김자윤의 바이올린북] , [초청강연_우리시대, 기억해야 할 것은 무...
식도암 수술 전후 100일간의 식단 ― 회복에서 식사 계획...
새로 만들어진 식도를 능숙하게 사용하여, 먹는 즐거움을 되찾아 드립니다 ‘무언가를 먹는다.’ 건강...
영화 속으로-작가·장르·스타일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종교와 영화의 세계
다양한 상상과 욕망의 꿈을 이미지, 이야기, 몸짓으로 표현하는 종교와 영화는 유한의 시간이 전개되는...
릴케의 시적 방랑과 유럽 여행
시인 라이너 마리라 릴케(1875-1926)는 쉼 없이 방랑의 인생을 살았다. 그가 거쳐 간 나라는...
우리는 왜 극장에 가는가 – 이상우 교수의 연극 이야기
연극은 인생을 투영한다. 연극 속 배우가 무대 위에서 무엇인가 끊임없이 욕망하...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
사회 민주화와 더불어 토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방적인 지시와 강제의 권능이 사라진 곳에서...
눈먼 사랑과 뇌 ― 셰익스피어와 함께하는 뇌 과학 이야기
햄릿의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나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니라!”와 같은 표현들은 ...
자연재해의 이해
자연재해는 우리의 삶에 있어 큰 위협이면서도 다양한 기회가 되어 주기도 한다. 인류의 역사를 자연재...
한국건축사(개정판)
우리는 누구인가? 건축이 답한다 우리나라 전통건축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가 지난 2000년에 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