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도서
밀암 이재 문파 연구 -18세기 영남 학자의 지적 지형도
《밀암 이재 문파 연구》는 퇴계학파의 적전(嫡傳)으로 평가 받고 있는 밀암(密菴)과 그의 제자들의 삶을 비롯하여 문학·사상·교육·정치·행정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한국한문학사, 한국철학사, 한국교육사, 한국정치행정사 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다. 문헌자료를 통하여 〈금수문인록(錦水門人錄)〉에 수록되지 않은 29명의 학자가 밀암문인(密菴門人)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고,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던 7명의 문인(노계 이복환, 소은 이경익, 우계 김명석, 송하 권심규, 청벽 이수연, 이치재 신정모, 냉천 이유원)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은 이 연구의 큰 성과이다. 18세기 영...
레오폴트 폰 랑케와 근대 역사학의 형성
이 책은 근대 역사학의 창건자로 불리우는 레오폴트 폰 랑케의 역사연구방법론과 이론 및 역사사상을 정리한 저술이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문헌학적·비판적 방법을 도입하여 사실주의 원칙을 세움으로써 역사연구와 서술을 학문화시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문헌비판의 경험론적 방법 외에도 역사를 “정신화”시켜서 “정신적 통각”을 통해 역사적 사실들과 그 발전들을 파악하는 직관적 이해방법을 또한 활용하면서, 역사연구에는 철학적, 시문학적 정신이 다 함께 필요하며, “역사서술은 학문이자 동시에 예술이다”라고 정의했다. 이로써 그는 역사를 정신적, 이념론적으로 사유하...
보들레르와 시의 현대성
발레리는 1924년의 강연에서 “베를렌도, 말라르메도, 랭보도 결정적인 나이에 《악의 꽃》을 읽지 않았다면 지금의 그 시인들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단언했다. 살아생전에 그 어떤 그룹이나 유파에 군림한 적도, 진정한 문하생을 육성한 적도, 수많은 모방자를 생성한 적도 없었으며, 사후에도 반세기 동안 맹목적인 비평에 헐뜯겼던 단 한 권의 시집을 가진 시인 보들레르. 이 책은 1857년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와 더불어 당시 세상에 “스캔들”을 일으켰던, 비록 그 진정한 영향이 알려진 것는 더 시간이 필요했으나 전통 시대를 마감함과 동시에 현대성의 시대를 열어젖혔던...
추천 도서
헤게모니의 미래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의 대안은 무엇인가? 이 책은 1991년부터 2019년까지 30여 년의 시...
기념의 미래
기념의 시대는 벼락처럼 들이닥쳤다. 서로 엉킨 4중 과거사―동학농민혁명, 일제 치하 친일협력, 한국...
식도암 수술 전후 100일간의 식단 ― 회복에서 식사 계획...
새로 만들어진 식도를 능숙하게 사용하여, 먹는 즐거움을 되찾아 드립니다 ‘무언가를 먹는다.’ 건강...
한옥
최근 한 젊은 사업가가 2007년 서울시가 문화재자료로 지정한 한옥 고택을 96억에 매입하며 화제를...
영화 속으로-작가·장르·스타일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종교와 영화의 세계
다양한 상상과 욕망의 꿈을 이미지, 이야기, 몸짓으로 표현하는 종교와 영화는 유한의 시간이 전개되는...
릴케의 시적 방랑과 유럽 여행
시인 라이너 마리라 릴케(1875-1926)는 쉼 없이 방랑의 인생을 살았다. 그가 거쳐 간 나라는...
우리는 왜 극장에 가는가 – 이상우 교수의 연극 이야기
연극은 인생을 투영한다. 연극 속 배우가 무대 위에서 무엇인가 끊임없이 욕망하...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
사회 민주화와 더불어 토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방적인 지시와 강제의 권능이 사라진 곳에서...
눈먼 사랑과 뇌 ― 셰익스피어와 함께하는 뇌 과학 이야기
햄릿의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나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니라!”와 같은 표현들은 ...
자연재해의 이해
자연재해는 우리의 삶에 있어 큰 위협이면서도 다양한 기회가 되어 주기도 한다. 인류의 역사를 자연재...
한국건축사(개정판)
우리는 누구인가? 건축이 답한다 우리나라 전통건축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가 지난 2000년에 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