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도서
회복력 원칙 -사생계에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
인류가 겪었고, 겪고 있으며, 겪어갈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 그 모습이 인류가 진화해 온 터전에서 풍요로운 삶을 지속하게 할 수 있을까? 지속할 수 없다면, 인류의 미래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어 놓을까? 우리의 생존은 물론이고 풍요의 기반인 지구생태계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걸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런 의문들에 답을 구하고 대응하기 위한 세계관의 하나가 우리의 터전 (생태계)과 삶 (사회계)은 분리할 수 없는 한 몸의 복잡적응계이며, 그 안에 깃들어 있는 유기체 모두와 그를 둘러싼 환경의 상호 작용이 미래를 그려낼 것이라...
러시아 현대시의 해석
이 세상에 오로지 한 편만 존재하는 만델슈탐의 시와 딥러닝이라는 차가운 처리 과정을 통해 무한히 복제되는 모종의 텍스트 간의 차이를 굳이 지적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시인의 전 생애와 그가 속한 시대 전체를 담고 있는 아흐마토바의 시와 수천억 개의 매개변수에 의존하는 저자 없는 텍스트 간의 차이 또한 지적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수만 편의 평론과 연구서를 창출한 푸시킨과 단 한 편의 평론도 필요로 하지 않는 알고리즘 간의 차이도 마찬가지다. 아이러니하게도 인공지능이 작성한 시는 인간이 쓰는 시가 왜 필요한지, 시를 읽는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시를 읽을때 무엇을 고려...
북한 보건의료 연구와 교류협력 -북한 학술지를 통한 보건의료 연구와 창의적 교류협력
최근 북한의 코로나19 창궐은 북한 주민, 특히 취약계층의 건강과 영양 상태에 심각한 위협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긴급구호뿐만 아니라 북한 보건의료의 회복탄력성과 중장기적 내구성을 지원할 수 있는 대북활동들은 매우 미흡한 안타까운 상황이다. 한반도의 현실에서 생명의 무게는 다르다는, 인정하고 싶지 않은 진실을 그냥 바라만 보고 있을 것인가? 그럴 수 없기에 이 책이 기획되었다. 우선 북한의 보건의료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그간 북한의 보건의료 현황을 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의료체계 등 제도적 차원의 접근이거나 외국의 통계자료들이 주로...
추천 도서
민법학원론 제2판
『민법학원론』 제2판은 5년 만의 개정판이다. 단순히 민법의 조각을 열거하며 서술하기보다는 개념 또...
헤게모니의 미래
헤게모니 변방국 한국의 대안은 무엇인가? 이 책은 1991년부터 2019년까지 30여 년의 시...
기념의 미래
이 책의 [미디어서평] 보기 [김자윤의 바이올린북] , [초청강연_우리시대, 기억해야 할 것은 무...
식도암 수술 전후 100일간의 식단 ― 회복에서 식사 계획...
새로 만들어진 식도를 능숙하게 사용하여, 먹는 즐거움을 되찾아 드립니다 ‘무언가를 먹는다.’ 건강...
영화 속으로-작가·장르·스타일
영화는 예술, 오락, 산업, 과학이라는 복합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상과 감성을 동시에 전달하는...
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종교와 영화의 세계
다양한 상상과 욕망의 꿈을 이미지, 이야기, 몸짓으로 표현하는 종교와 영화는 유한의 시간이 전개되는...
릴케의 시적 방랑과 유럽 여행
시인 라이너 마리라 릴케(1875-1926)는 쉼 없이 방랑의 인생을 살았다. 그가 거쳐 간 나라는...
우리는 왜 극장에 가는가 – 이상우 교수의 연극 이야기
연극은 인생을 투영한다. 연극 속 배우가 무대 위에서 무엇인가 끊임없이 욕망하...
논쟁에서 이기는 38가지 방법
사회 민주화와 더불어 토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방적인 지시와 강제의 권능이 사라진 곳에서...
눈먼 사랑과 뇌 ― 셰익스피어와 함께하는 뇌 과학 이야기
햄릿의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나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니라!”와 같은 표현들은 ...
자연재해의 이해
자연재해는 우리의 삶에 있어 큰 위협이면서도 다양한 기회가 되어 주기도 한다. 인류의 역사를 자연재...
한국건축사(개정판)
우리는 누구인가? 건축이 답한다 우리나라 전통건축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가 지난 2000년에 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