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간 도서더보기 ≫

  • 법학의 길잡이 -법이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법학 공부의 올바른 첫걸음을  인도하는 결정적인 안내서 법이 추구하는 목적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하여 법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주제들을 심도 있게 조명한 이 책은 각자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기록해 온 국내 법학자들이 다년간 개진해 온 연구를 집대성한 법학통론서로 현재 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 ‘법학통론’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법은 우리 사회의 핵심적인 규범 체계이자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끼치는 대상이다. 이 책에서는 법이 고정된 규범이 아님을 입증하고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하는, 살아 있는 체계임을 보여 주기 위하여 법의 기본 개...

  • 헌법의 시간들 -한국헌법사, 독립운동가부터 사이코패스까지

    계엄의 역사는 결코 반복되지 않을 것 같았지만 결국 반복되었다. 불행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역사를 기록하는 것처럼 불행한 헌정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한국헌법사를 기록하고자 이 책은 기획되었다. 불행한 헌정사의 반복을 막기 위해 기획된 한국헌법사에 관한 원고가 마무리되어 가던 즈음에 계엄사태가 발생해 버렸다. 불행한 과거의 반복을 예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미래의 도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도 헌법의 역사는 기록되어야 한다. 헌법의 역사는 헌법이 파괴된 시간들과 헌법이 수호된 시간들을 모두 품고 있다. 미래로 향하는 헌법의 역사는 헌법적 정의가 실현되는 이상적 헌...

  • 정약용의 눈으로 본 지방사회

    이 책은 조선의 왕조 지배체제가 어떻게 지방사회와 만났는지에 대하여 조선 후기 사상사 연구에 있어 학문적 조명의 중심에 서 있는 다산 정약용의 시점을 통해 다각적인 조망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서로 고려대학교 조선후기사 연구실에서 개진된 연구를 바탕으로 아홉 명의 필자가 힘을 더하여 완성하였다. 실학 연구가 각광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된 정약용에 대한 연구는 실학이 하나의 학적 범주로 자리 잡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애민의식, 도덕적 규범 등 교훈적인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것 외에 그의 저술 중 상당수는 실학의 근대성을 증명하기 위한 근거로 활...

스테디셀러

추천총서

prev
next

수상도서

추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