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간 도서더보기 ≫

  • 정약용의 눈으로 본 지방사회

    이 책은 조선의 왕조 지배체제가 어떻게 지방사회와 만났는지에 대하여 조선 후기 사상사 연구에 있어 학문적 조명의 중심에 서 있는 다산 정약용의 시점을 통해 다각적인 조망을 제시하고 있는 연구서로 고려대학교 조선후기사 연구실에서 개진된 연구를 바탕으로 아홉 명의 필자가 힘을 더하여 완성하였다. 실학 연구가 각광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된 정약용에 대한 연구는 실학이 하나의 학적 범주로 자리 잡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애민의식, 도덕적 규범 등 교훈적인 가치를 강조하기 위한 것 외에 그의 저술 중 상당수는 실학의 근대성을 증명하기 위한 근거로 활...

  • 우리 주변의 불안과 공포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불안과 공포를 마주하게 된다. 죽음처럼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마주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부터 오는 불안과 공포뿐만 아니라, 인간의 이성과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기이한 것으로부터 오는 불안과 공포도 있다. 이들은 모두 우리의 인지 영역 밖에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인간에게는 인지(認知)를 넘을 수 있는 상상력이 있다. 인간은 이러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학과 예술을 창작하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동서양의 인문 고전들은 우리가 현실을 살아가며 만나게 되는 다양한 불안과 공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 사회적 실험과 도덕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처럼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여기서 이야기하고 있는 ‘정치적’이라는 말의 뜻은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권모술수에 능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공동체를 이루며, 그 안에서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는 동시에, 공동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이다. 인간은 무엇이 옳은지, 어떻게 하면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실험을 통해 공동체를 발전시키며 성장해 왔다. 앞으로도 이러한 실험은 계속될 것이다. 그 과정을 기록한 여러 인문 고전들은 앞으로 우리가 당면할 도전과, 그것을 해결할 수 ...

스테디셀러

추천총서

prev
next

수상도서

추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