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교육학 체계 -한국교육철학의 뉴 패러다임 구상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저자 : 신창호

판형 : 신국판 면수 : 320 쪽

발행년월일 : 2012-03-20

ISBN : 978-89-7641-767-1 94370

인문사회과학총서 74

가격 : 16,000

한국에서 유교 교육에 관한 연구는 서양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하다. 대부분의 연구 또한 유교 자체를 교육학으로 환원하여 고찰하기보다는 유교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얻으려는 객관적 자세를 견지한다. 이 책에서는 유교를 교육학 자체로 바라보고, 그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시도하였다. 현재의 민주주의, 국제화, 지식 정보화, 다문화 등 다양한 변화 속에서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유교의 가치를 드러내어, 그 교육학적 측면을 적극적으로 구명하는 것이 이 책의 첫 번째 목적이다. 유교 사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태도 중에서도 중용이 핵심임을 밝히고 그 의의를 논하는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 유교의 본질을 존숭하는 동시에 의미의 재해석을 통해, 유교의 교육학 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이 세 번째 목적이다.

제1장 서언
제1절 유교 전통과 가능성
제2절 유교 교육의 연구 성과와 과제
제3절 유교 교육학에 담을 내용들

제2장 유교의 특징
제1절 유교의 기원
제2절 우주론―생성과 변화
1. 시공의 담지자로서 우주 천지
2. 우주의 중심인 태극 ― 리
3. 우주의 동력으로서 음양오행
제3절 인간론―선을 향한 의지
1. 인성의 단서
2. 선단의 구유와 성선의 의미
3. 욕망적 존재 ― 성악의 가능성
4. 심성의 보존과 회복
제4절 수양론―성과 경의 실천
1. 천명에서 성으로
2. 수양의 근거 ― 성
3. 수양의 실천 ― 경

제3장 유교의 교육론
제1절 교육의 의미
1. 교육의 필요성
2. 교육의 의미 분화
제2절 유교의 교육 본질론
1. 교화와 교학상장
2. 도덕적 자각과 삶의 예방적 차원
3. 사회적 예치와 사욕의 치료적 차원
4. 개인과 사회의 조화
제3절 유교의 교육 목적론
1. 교육 목적의 이해
2. 유교 교육 목적의 양태 ― 일상생활의 예술적 실천
3. 유교 교육 목적의 내용 ― 인륜의 자각과 예의 실현
제4절 유교의 교육 내용과 방법론
1. 교육 내용의 융합성 ― 육경과 육예
2. 학문 내용의 연속성 ― 소학과 대학
3. 유교 교육의 체계화 ― 《대학》의 학문 기획

제4장 유교 교육의 중용적 특질
제1절 중용의 의미
1. 중용의 개념 이해
2. 마음의 중용 ― 인심과 도심
3. 중용 교육의 실천 ― 시중 · 권도 · 혈구지도 · 무과불급
제2절 내외 조화의 중용적 교육 가치
1. 내성외왕과 성기성물
2. 자성명 자명성 · 존덕성 도문학
제3절 학과 사의 교육 방법론적 중용
1. 사고 · 언어 · 행위
2. 학과 사의 연속적 지평

제5장 유교 교육철학의 구성
제1절 유교의 교육 본질―진정한 삶의 연출
1. 생활교육
2. 평생교육
제2절 유교의 교육 내용―화해의 윤리 도덕
1. 자연과 인간의 화해
2. 인간과 인간의 화해
제3절 유교의 교육 방법―인재시교와 점진주의
1. 스승의 의미와 역할
2. 인재시교
3. 점진적 단계론
4. 조화의 원리

제6장 요약 및 결어
제1절 요약
1. 유교의 특징
2. 유교의 교육론
3. 유교 교육의 중용적 특질
4. 유교 교육철학의 구성
5. 종합적 요약
제2절 결어
1. 교육의 본질과 목적 차원
2. 교육의 내용 차원
3. 교육의 방법 차원
4. 교사의 자질 차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 신창호

신창호申昌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철학 부전공)를 졸업하고 한국학대학원(철학 전공)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교육철학 전공) 박사과정을 마쳤다. 경희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유교의 교육학 체계》, 《한글사서(대학, 논어, 맹자, 중용)》, 《한국교육사의 통합적 이해》, 《대학, 유교의 지도자 교육철학》,《유교 사서의 배움론》, 《톨스토이의 서민교육론》, 《배려와 학습》, 《율곡 이이의 교육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진시황 평전》, 《공자 평전》, 《노자 평전》, 《관자》 등이 있다. 동서양 고전의 현대적 해석, 한국 전통 사상의 교육철학적 해명을 학문 연구의 기저로 삼...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