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토지경제사연구

저자 : 김택민

판형 : 신국판 면수 : 470 쪽

발행년월일 : 1998-10-30

ISBN : 89-7641-360-1

인문사회과학총서 20

가격 : 14,000

본서는 중국사회경제사의 전개 경로와 형태가 국가가 제정한 제도에 의하여 좌우되었다고는 보기 어렵다고 밝힌 필자가 北朝 隋 唐前期의 토지소유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먼저 해명해야 되는 균전제에 관해 접근하고 있는 역사적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의 전개과정에서 토지소유권의 이동과 소유관계의 변화는 제도에 의해서가 아니라 경제가 운용되는 현장에서 형성되는 경제활동의 당연한 귀결임을 밝히고 있다.

序 文

序 論
1. 問題의 提起
1) 문제 의식의 출발
2) 敦煌戶籍文書 硏究와 均田制 未實施論
3) 吐魯番文書 연구에 의한 均田制 實施論과 그 限界
4) 本書의 主眼點
2. 本書의 전개

제1장 균전제 이전의 토지경제사 개설
제1절 西周 時代의 封建制 토지소유제와 井田制
제2절 戰國時代 編戶齊民의 토지사유와 地主制의 형성
1. 토지사유제의 형성
2. 전국시대 지주제의 성립과 토지사유제의 확립
제3절 漢代의 大土地所有制와 한전론
1. 토지사유제의 정착
2. 대토지소유제와 한전론
1) 전한시대의 대토지소유제의 성립과 한전론
2) 王莽의 토지개혁
3) 後漢의 豪族的 大土地所有制
제4절 曹魏의 屯田制와 서진의 占·課田制
1. 曹魏의 屯田制
2. 西晉의 占田·課田과 給客制의 意義
1) 戶調式의 주요 내용
2) 占田과 課田
3) 田租와 戶調制의 變遷
4) 官人의 占田과 給客制의 의의
小 結

제2장 世族的 豪强地主制下에서의 民調制 시행과
均田詔의 반포
제1절 民調制 시행의 사회경제적 배경
1. 胡族社會의 경제적 기반
2. 漢人社會의 世族的 豪强地主制의 구조
제2절 世族的 豪强地主制와 三長制·均田詔와의 관계
1. 吏治의 개혁과 삼장제의 시행
2. 均田詔의 반포와 그 개혁 방향
제3절 北魏 均田令에서 田種의 性格과 受田의 意味
1. 田種別 受田對象과 受田面積
2. 田種의 性格과 受田의 意味
제4절 西魏 均田令의 實施 狀況
1. 田種別 受田對象·面積·巳受率
2. 田種의 性格과 受田의 意味
小 結
제3장 隋代의 租調役 徵收體制와 土地所有關係
제1절 括籍(大索貌閱)의 背景과 그 전개
1. 括籍의 社會經濟的 배경
1) 隋書 와 通典 의 배경 설명
2) 北齊期의 豪强勢力과 括籍
3) 河淸3年令과 北齊末期의 狀況
2. 括籍의 展開와 括籍體制의 强化
1) 括籍의 전개
2) 括籍體制의 整備와 强化
제2절 租調役 體制의 運營과 土地所有關係
1. 租調役 體制의 운영
1) 稅役의 輕減
2) 實役 動員
2. 隋代의 田令과 土地所有關係
小 結

제4장 唐 初期의 政治經濟 狀況과 土地所有關係
제1절 隋末의 民衆反亂과 唐初의 經濟政策方向
1. 民衆反亂의 전개
1) 群盜性 민중반란
2) 稱帝·稱王 집단의 출현
3) 봉기군의 연대와 지역정권의 성립
4) 민중군의 해체와 그 최후
2. 民衆蜂起의 性格
1) 봉기주도자의 출신계층
2) 봉기의 원인
3) 蜂起 집단의 의식 구조와 전란의 파괴 작용
3. 貞觀之治와 經濟政策方向
1) 高祖 武德 연간의 經濟狀況
2) 魏徵과 太宗의 淸靜無爲之治論
3) 貞觀期 端拱無爲의 吏治와 經濟政策方向
제2절 唐初 輕 薄賦와 戶口編制의 緩化
1. 제도면에서의 輕 薄賦
1) 收庸代役制의 확대
2) 地主 우대의 稅役政策
2. 戶口編制의 弛緩
1) 戶口編制 緩和와 輕 薄賦의 관계
2) 戶口統計數値의 算出 節次
3) 戶口統計數値와 貞觀年間의 實際戶口數
4) 緩化된 戶口編制의 實狀
5) 戶口編制 완화의 원인
제3절 普通地主制社會의 성립과 田令
1. 普通地主制의 성립과 존재 양상
2. 普通地主制와 田令
1) 田令의 頒布
2) 百姓田의 給田規定
3) 狹鄕과 寬鄕에서의 田令
4) 普通地主制와 官人永業田令
제4절 唐代 吐魯番 지방에서의 退田·給田의 意義
1. 敦煌文書와 吐魯番文書
1) 敦煌戶籍의 성격
2) 吐魯番文書에 대한 연구와 그 問題點
2. 吐魯番文書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佃作制와의 관계
2) 退田 사유
3. 官田의 給田基準額과 租佃制
4. 官田의 給田과 均田制
小 結

제5장 普通地主制下의 逃戶와 租庸調體制의 한계
제1절 逃戶 양상과 그 발생 원인
1. 逃戶의 存在 樣相과 逃戶 논의의 意義
1) 逃戶의 存在 樣相
2) 逃戶에 대한 論議의 意義
2. 逃戶 發生 原因
1) 府兵役의 기피
2) 逐糧에 의한 戶口 流散
3) 吏治 紊亂에 의한 逃戶
4) 山東豪傑과 逃戶
제2절 括籍의 강화와 租庸調 體制의 한계
1. 財政 결손 요인의 확대
―括籍 강화의 요구
1) 財政 위기에 대한 논의
2) 食封
3) 僞濫色
4) 寺觀 濫建과 僞濫僧
5) 軍鎭 설치와 兵糧運搬
6) 勳官 濫授와 僞勳
2. 李嶠의 上表와 租庸調 體制의 강화
1) 禁令原則
2) 恩德原則과 限制原則
3) 權衡原則
3. 宇文融의 括客과 租庸調體制의 한계
1) 宇文融의 括客과 새로운 稅制의 적용
2) 玄宗 治世의 土地 分配 정책
小 結

結 論

參考文獻
찾아보기

저자 : 김택민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조선대학교 문과대학 부교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저서 및 논문譯註 {唐律疏議}, 名例編, 各則編(上),各則編(下) (共譯).<魏緻의 行迹과 그 평가>,<隨 煬帝의 勳官 폐지와 唐代의 勳官 濫授>,<隨 唐의 創業과 正統性> 외 다수...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