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재조명

2002년 제35회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저자 :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실

판형 : 신국판 면수 : 386 쪽

발행년월일 : 2002-03-10

ISBN : 89-7641-449-7

단행본 

가격 : 14,000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환경이 어려운 것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만이 아니다. 한반도의 구성원들은 대륙과 해양을 잇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고대 이래 쉽지 않은 역사를 영위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을 끊임없이 극복해가면서 오늘에 이르렀고 오늘의 문제를 풀어가면서 보다 나은 미래를 향해 달려갈 것이다. 특히 미래를 짊어질 젊은 대학생들이 지난 날의 역사를 올바로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오늘을 제대로 인식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데 밑거름이 된다.
<한국사의 재조명>은 이 점을 염두에 두고 고등학교에서의 한국사 교육을 통해 일정한 소양을 쌓은 대학생들이 한국사 인식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 다양한 사실과 관점을 습득하는 데 참고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집필되었다.
이 책은 대학생들이 알아두어야 할 역사적 사실과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수용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하면서 집필자들의 입장도 일정하게 드러내려고 했다. 또 역사학에서 다룰 수 있는 범위를 가능한 한 넓혀, 세계사의 변화와 한국사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개항 이후 시기를 비롯해서 요즈음 대학생들이 관심은 많으면서도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현대사 부분을 많이 포함시켰다.

제1장 한국사란 무엇인가(김정배)
1. 한국사연구의 방향
1) 실학자들의 한국사연구
2) 민족주의사학
3) 사회경제사학
4) 실증사학
5) 신민족주의사학
2. 한국사의 시대구분
1) 시대구분의 필요성
2) 왕조사적 시대구분
3) 사회발전 단계설
4) 시대구분의 과제

제2장 고대사회의 형성과 발전
1. 선사시대의 문화(정운용)
1) 구석기문화
2) 신석기문화
3) 청동기문화
2. 고대국가의 형성(최광식)
1) 고대국가에 대한 이론
2) 고대국가의 발전단계
3) 고대국가의 왕권과 제의
3. 삼국시대의 사회(정운용)
1) 삼국의 권력구조
관등제의 성립 / 중앙 통치체제 / 지방 통치체제
2) 삼국사회의 신분
신분 구성과 역할 / 삼국의 사회 성격
3) 삼국시대의 경제
토지에 대한 권리 / 농업 / 수공업·상업
4) 삼국의 대외관계
대외관계의 성격 / 중국과의 관계
4. 통일신라와 발해(박현숙)
1) 남북국시대론의 의미
2) 통일신라의 권력구조
3) 통일신라의 경제
4) 발해사의 전개
5) 신라와 발해의 대외 관계
5. 고대의 사상과 문화(최광식)
1) 토착신앙과 의례
2) 불교의 수용과 대중화
3) 문자생활과 학문
4) 예술
5) 발해의 사상과 문화
6. 신라 하대의 사회변동(박현숙)
1) 신라 하대의 정치적 변화
2) 신라 하대의 경제적 혼란
3) 신라 하대 사상계의 동향
4) 신라 하대 사회의 변화와 후삼국의 정립

제3장 고려 사회의 전개
1. 귀족사회의 성립과 통치체제(박용운)
1) 귀족사회의 성립
2) 귀족사회의 성격
3) 중앙통치체제
4) 지방행정구조
2. 전시과 체제와 농장(이진한)
1) 전시과제도
2) 공전과 사전
3) 농장의 발달
4) 상공업
3. 사회신분과 가족(이진한)
1) 신분구조
관인 / 중간층 / 일반양인 / 천인
2) 가족·친족과 여성
4. 무신정권과 권문·세족 및 신진사류의 사회(박용운)
1) 무신정권의 추이와 그 성격
2) 농민·천민의 봉기
3) 권문·세족과 신진사류의 대두
4) 권문·세족과 신진사류 세력간의 대립
5. 대외 관계(박용운)
1) 송(宋)과의 관계
2) 요(遼)·금(金)과의 관계
3) 원(元)과의 관계
4) 왜구의 문제
6. 사상과 문화(박용운)
1) 불교사상
2) 유학사상
3) 풍수지리·도참사상
4) 예술과 과학

제4장
1.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1)조선 건국의 의
2) 유교정치의 진전
3)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반포
4) 정치조직과 통치체제
5) 양반관료국가의 성격
2. 사회구조와 경제기반
1) 신분제도와 계층 구조
2) 전체와 세역 부
3) 농업경영과 생활상
4) 상업과 수공업
3. 사리세력과 사림정치
1) 훈구세력 지배하의 사회변화
2) 사림세력의 등장과 사화
3) 서원의 발달과 향약의 보급
4) 사림정치의 전개
4. 양반 사회의 문화
1) 한글의 창제
2) 편찬 사업의 융성
3) 성리학의 발달
4) 과학 기술의 발달
5) 문학과 예술
5. 양반국가의 대외관계
1) 15·1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2) 명과의 관계
3) 일본에 대한 교린 외교
4) 여진에 대한 회유와 정벌
5)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제5장 근대사회로의 지향(조광)
1. 조선후기 정치사의 전개
1) 중앙 기구 및 제도의 개편
2) 중앙 정계의 동향
3) 부세정책의 변화
2. 조선후기 경제의 발전
1) 농업생산력의 발달
2) 지주제의 변동
3) 지대형태의 변화
4) 상품화폐경제의 발전
5)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3. 조선후기 신분구조의 변동
1) 신분제의 변동
2) 가족제도의 변화와 여성
3) 인구 변동과 도시의 발전
4) 향촌사회의 변화
4. 조선후기의 민중운동
5. 조선후기의 사상과 문화
1) 성리학의 전개
2) 실학의 발흥
3) 민중사상의 발전
4) 조선후기의 문화

제6장 근대조선과 세계자본주의 (최덕수)
1. 강화도조약과 세계자본주의
1) 19세기 중엽 동아시아정세
2) 서계문제와 조일외교
3) 강화도조약
2.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정책의 추진
1) 개화파의 형성과 활동
2) 갑신정변
3) 갑오개혁
갑오개혁의 실시 / 갑오개혁의 내용 / 개혁의 성격
3. 세계자본주의체제로의 편입과 조선경제구조의 변화
1) 무역과 국내상업
관세자주권의 상실 / 청, 일간의 무역 / 상품유통의 변화
2) 정부의 경제정책과 토착자본의 동향
무비자강책 / 식산흥업책 / 조선상인의 대응 / 토착생산의 발달
3) 농민층 분해와 노동자의 생성
4. 근대민족운동의 전개
1) 갑오농민전쟁
발생배경 / 전개과정 / 역사적 성격
2) 독립협회운동(1896∼1898)
전개과정 / 만민공동회운동과 강제해산 / 독립협회운동의 의의
3) 계몽운동(1905∼1910)
등장배경 / 계몽운동단체 / 학회활동과 교육계몽운동 / 계몽운동의 성격
4) 의병전쟁
전개과정 / 의병운동의 성격변화
5. 제국주의 열강과 조선식민지화
1) 1898년 조선과 동아시아
2) 러일전쟁과 조선
3) “합방조약”과 열강

제7장 식민지 지배와 민족해방운동(정태헌)
1. 식민지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식민정책의 전개 과정
1) 총체적 민족억압정책―무단통치
2) 민족분열정책―”문화정치”
3) 전시 동원을 위한 민족말살정책―”동화정치”
3. 식민지 경제의 실상과 민중의 삶
1) 식민지자본주의 이식을 위한 기반 조성
2) 식민지 지주제의 성장과 정체
3) 식민지공업화 정책의 특징
4) 민중의 삶과 자금·물자의 동원
4.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과정과 건국이념의 수렴
1) 국내에서의 민족해방운동
3·1 운동 / 조선공산당 운동과 대중운동 / 신간회운동과 학술·문화운동
2) 국외에서의 민족해방운동
만주, 노령지역의 독립운동기지 건설과 무장투쟁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조·중 연대 무장투쟁
3) 국내외의 연합전선운동과 건국 준비
민족연합전선의 추진 과정과 건국이념의 수렴 / 연합전선론으로 본 민족해방운동의 의의

제8장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민주화 운동(정태헌)
1. 해방, 그리고 분단과 전쟁
1) 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미·소 양군의 분할 점령
2) 좌우 대립과 분단국가의 수립
3) 전쟁과 적대적 대립의 고착
2.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의 전개
1) 통일운동과 평화통일론의 정착과정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분단 극복의 가능성과 실패 / 한국전쟁 후 평화통일론의 제기와 탄압 / 1960∼70년대―적대적 공존정책 속에서 합의된 평화통일론 / 1980년대말 이후―평화적 공존체제 정착을 향하여
2) 민주화운동의 장정
4·19 민주항쟁 / 한일국교 반대운동 /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 / 광주민중항쟁(1980년)과 6월 항쟁(1987년)
3)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의 정착 과정
전평·전농의 결성과 어용적 노총·농총의 설립 / 민주적 노동조직의 태동과 노동·농민운동의 발전 / 1980년대―노동자 대투쟁과 노동운동의 정착
3. 남·북한의 경쟁적 경제 건설
1) 남한―전후복구의 지체, 1960년대 이후의 경제성장과 배경
2) 북한―성공적 전후복구와 1970년대 이후의 경제 침체

저자 :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실

김정배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민현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박용운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조 광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최덕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최광식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정운용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현숙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정태헌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이진한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