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국가적 공간과 공동체로서의 동북아시아: 가능성과 현실

저자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사업단

판형 : 신국판 면수 : 416 쪽

발행년월일 : 2018-06-15

ISBN : 978-89-7641-958-3 93330

단행본 

가격 : 24000

동북아시아가 단순히 공통의 공간을 점유하는 지역에서 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간의 교류와 협력, 공통의 소속감과 연대감이 선행되어야 한다. 민족과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긴밀하고 호혜적인 물적, 인적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민족정체성과 국민정체성의 범위를 넘어선 아시아인으로서의 지역정체성을 공유할 때 비로소 동북아시아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교류와 상호의존의 실태를 점검하고, 민족과 국민의 경계를 넘어선 초국가적 정체성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제반 여건들을 분석했다.
―「책머리에」 중에서

책머리에 5

제1부 동아시아 초국가적 ‘물질, 제도, 사상의 순환’

1장 아시아 유학생의 두뇌순환과 초국가적 정체성 – 윤인진 17
2장 루스키 미르 연차총회 주제의 인문학적 분석 – 김진규 77
3장 조선무역협회통보를 통해 본 중일전쟁시기 조선과 중국 간 무역 – 송규진 107
4장 ‘내파(內破)’하는 ‘대동아공영권’ 동남아시아 점령과 조선통치 – 이형식 135
5장 동아시아 전시체제와 중국의 노동조직 – 윤형진 169

제2부 미중 경쟁과 동북아공동체

6장 지역다자주의 틀에서의 미중 경쟁과 한국의 다자안보전략구상 ‘아세안 중심성’의 교훈 – 이신화·이양호 195
7장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인터넷 여론의 역할 – 제3차 북한 핵실험에 대한 정책 결정을 중심으로 – 이정남 231
8장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본 동북아 국제관계와 규범공동체 형성 – 손기영 259

제3부 북한의 경제발전과 동북아 협력

9장 북한의 화장품 정책과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 64개 기초 및 색조화장품을 중심으로 – 남성욱 293
10장 북한의 경제개발구 노동복지 법제분석 – 경제개발구 로동규정을 중심으로 – 이철수 335
11장 남북한 제도적 경제통합과 경제적 효과 – 강문성 367
12장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달성의 무역창출효과 추정 – 곽도원 389

필진 414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