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극정신은 기본적으로 축제정신이고 놀이정신이다. 방해꾼의 사회적 융화를 통한 바람직한 사회의 추구나, 현실원리에 대한 쾌락원리의 승리라는 욕구충족의 패턴, 일상과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와 해방의 열정, 순수한 생명력의 연속적인 균형을 회복하려는 희극적 리듬 등은 모두 실재의 고통을 역전시키는 희극의 정신이자 전복적 욕망의 발현이다. 이 정신과 욕망은 그것을 방해하는 실재의 인간 및 세계와 갈등을 빚으면서 대결, 비판, 화해와 같은, 다양한 희극적 태도를 취하나, 갈등의 끝에는 항상 억압에서 해방으로, 죽음에서 부활로, 어둠에서 빛으로, 겨울에서 봄으로 상승하는 힘과 이상적인 가치를 획득한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희극의 개념과 이론을 정리했다. 연극의 오랜 역사를 지닌 서양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이후 희극에 관한 의미 있는 논의들을 생산해 왔으나 국내에서는 미약한 편이었다. 국내의 경우, 희극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니더라도 문학이론을 다루면서 희극과 관련된 논의들이 있어 서양 이론과 함께 다뤄 보았다. 두 번째는 한국 근대 희극의 역사적인 맥락과 흐름을 파악하였다. 1910년 전후의 근대전환기 희극의 발생 시점부터 시작하여 해방을 지나 1940년대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삼아 희극의 맥락과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책머리에 5
I. 희극의 개념과 논의들
1. 고전적 개념과 기준들………………………………………………………………………………. 11
2. 희극정신과 세계관 ………………………………………………………………………………….. 17
3. ‘희극적인 것’의 미학 ……………………………………………………………………………….. 20
4. 희극의 구조 …………………………………………………………………………………………….. 22
5. 희극의 웃음 …………………………………………………………………………………………….. 24
6. 결어………………………………………………………………………………………………………… 27
II. 한국 근대 희극의 전개
1. 프롤로그: 한국 근대 희극의 이해를 위해…………………………………………………… 29
2. 근대 전환기와 개량의 희극(1912-1920년)……………………………………………….. 42
3. 궁핍한 현실의 냉소와 풍자(1920년대) …………………………………………………….. 68
4. 다양한 희극 세계와 대중희극의 범람(1930년대)………………………………………. 94
5. 추방의 풍자와 전적인 비난의 형식(1940년대)………………………………………… 157
6. 에필로그: 한국 근대 희극의 운명과 의미…………………………………………………. 188
참고문헌 200
저자 : 홍창수
홍창수 고려대학교 문화창의학부 교수, 극작가 (사)한국극작가협회 이사장 역임 세종시문화재단 설립 추진위원회 부위원장(2016) 역임 세종시 문화의달행사 추진위원장(2016) 역임 월간지 『한국연극』 편집위원 및 『공연과이론』 편집주간 역임 극단 창 THEATRE WINDOWS 대표 역임 계간지 『한국 희곡』 편집주간 주요 저서 및 역서 『오봉산 불지르다』(제1희곡집, 1999) 『한국 희곡 읽기의 새로움』(편저, 1999) 『김우진 전집』Ⅰ·Ⅱ·Ⅲ(공편, 2000) 『새로 쓴 사고와 표현』(공저, 2001) 『수릉』(제2희곡집, 2003) 『연극의 역사』Ⅰ·Ⅱ(공역, 2005) 『한국희곡연구-역사와 실존』(2006) 『연극의 즐거움』(공역, 2006) 『연극과 통찰』(201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