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사

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저자 : 송규진

판형 : 신국판 면수 : 504 쪽

발행년월일 : 2018-12-31

ISBN : 978-89-7641-979-8 93910

단행본 

가격 : 29000

근대국가는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사회경제조사를 실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정리한 통계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을 토대로 한 자료라고 선전했다. 이런 선전에 영향을 받아 통계를 객관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사회와 경제 현상 및 흐름에 대한 통계가 개인이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보다 더 강력한 사실로 사회적 힘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통계는 생산 집단이 일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테두리 안에서 산출한 일종의 가공물이기 때문에 해석의 과정이 수반되어야 제대로 볼 수 있다. 통계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려주는 측면도 있지만 통계를 명분으로 오류와 허위를 진실인 양 받아들이게 하는 기능도 있기 때문이다.

근대 이후 많은 국가들이 자국을 선전하고 원활하게 통치하기 위한 방편으로 통계작성을 중요하게 여겼다. 일제도 강점 이후 조선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통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통계행정을 정비했다. 여러 기관을 통해 엄청나게 많은 통계를 생산했고 일제강점을 합리화하기 위해 통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해방 이후 한국근대사를 전공하는 역사학자들은 일제강점기의 사회경제를 분석하면서 총독부가 양산한 통계를 활용하여 ‘수탈성’을 확인하는 많은 연구를 발표했다. 이런 수탈적 관점의 연구에 대해 경제학을 전공한 일군의 경제사가들이 일제강점기의 양적 성장을 근거로 ‘수탈론’을 전면적으로 비판하고 이른바 ‘식민지근대화론’을 제기하면서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이렇듯 연구자들이 다른 입장에서 다양한 성과를 내면서 일반인들도 일제강점기의 사회경제의 실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했다. 그럼에도 ‘수탈론’이나 ‘식민지근대화론’을 제기하는 연구자들 모두 자신의 연구영역에서 찾아낸 ‘한정된’ 자료만을 분석함으로써 ‘논쟁’이 발전적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조선총독부(이하 총독부)가 양산한통계자료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조선총독부통계연보』(이하 『통계연보』)조차 종합하여 정리하지도 못한 실정이다.

그동안 일제강점기 사회경제를 분석한 많은 연구로 구체적으로 많은 사실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전체를 아우르는 안내서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 책의 집필 목적은 이런 상황을 일신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통계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사회경제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일제강점기 사회경제 관련 통계를 인구, 농림수산업, 광공업, 재정·금융, 교통·통신, 상업·무역, 교육, 사법·경찰, 의료·보건, 종교·사회사업 등의 장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각 장에서는 개황을 약술하여 기본적인 상황을 파악하도록 했으며. 통계를 해설하여 독자가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의 실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책머리에 7
서문 21
1장 인구 25
1. 개황 27
2. 인구통계와 해설 31
2장 농림수산업 55
1. 개황 57
2. 농림수산업통계와 해설 64
3장 광공업 121
1. 개황 123
2. 광공업통계와 해설 129
4장 재정·금융 177
1. 개황 179
2. 재정・금융통계와 해설 186
5장 교통·통신 221
1. 개황 223
2. 교통・통신통계와 해설 229

6장 상업·무역 251
1. 개황 253
2. 상업・무역통계와 해설 260
7장 교육 305
1. 개황 307
2. 교육통계와 해설 314
8장 사법·경찰 353
1. 개황 355
2. 사법・경찰통계와 해설 363
9장 의료·보건 405
1. 개황 407
2. 의료・보건통계와 해설 412
10장 종교·사회사업 435
1. 개황 437
2. 종교・사회사업통계와 해설 443
맺음말 477
참고문헌 480
찾아보기 492

저자 : 송규진

송규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아세아문제연구소 비교사연구센터장 한국 근현대사 전공. 주요 논저로 『일제하의 조선무역 연구』, 『제국 시기 식민지인의 ‘정치참여’ 비교』(공저), 『동아시아국제관계사』(공저),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 ‘역사 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조선총독부의 통계행정기구 변화와 통계 자료 생산」,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 나진 웅기 청진을 중심으로」, “‘Cooperative Imperialism’ in Colonial Korea : The Role of Japan and the Western Powers in Abolishing Foreign Settlements” 외 다수가 있다....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