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가 개교 120주년을 기념하여 특별전 《120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를 개막했다. 해당 전시에서는 고려대학교 박물관과 도서관이 보유한 국가 지정 문화유산 및 희귀 자료 중 120건, 총 170여 점을 엄선하여 선보인다.
1934년 국내 최초의 대학교 박물관으로서 개관한 고려대학교 박물관은 지난 120년간 꾸준히 역사 및 문화 자료 수집 사업에 착수해 왔으며, 현재 약 10만 점에 이르는 역사, 민속, 고고, 예술 관련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또한 국보 1점을 비롯해 세계 유일본, 희귀본, 다수의 보물 및 지정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 맞춰 출간된 도록은 시대와 분야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자료들을 소개한다. ‘동궐도’, ‘혼천시계’,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등 국보로 지정된 대표 유물은 물론 90년 만에 처음 공개되는 현전 최고본 《훈민정음》,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인 ‘전기등소(電氣燈所)’의 위치가 기록된 〈경복궁배치도〉 등 희귀 사료도 포함되어 있어 다른 곳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귀중한 문화유산들을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다. 〈3·1 운동 재판 기록〉, 〈4·19혁명 부상자 명단〉과 같이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장면을 담은 기록물이 소개되어 있어 우리 사회의 역사적 전환점을 되짚어 볼 수도 있으며, 자율주행차 ‘KARV-1호’와 같은 첨단 연구 성과는 고려대학교의 학문적 역량과 미래의 가능성을 엿볼 수도 있다.
도록은 학교의 이름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에서 한 자씩 이름을 딴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이 다섯 한자의 의미는 각 장을 구성하는 하나의 키워드가 된다. 가령 〈고高: 우주 속의 좌표, 마음의 나침반〉은 우주적 질서 속 인간의 위치에 대한 물음을, 〈려麗: 일상의 품격, 그 아름다움〉은 일상생활 속에 드러난 심미성과 삶의 태도를 나타낸다. 이렇게 각 장의 키워드는 시대와 분야를 초월해 유물들에 담긴 공통된 인문적 가치를 발굴하며, 과거의 삶과 정신을 체험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로 기능한다.
마찬가지로 〈금강산도〉 등 대형 지도와 각종 지리서, 역사서들이 수록된 〈대大: 세상을 담은 시선, 남겨야 할 길〉에는 더 넓은 영역에 인류의 발자취를 남기고자 한 개척자들의 모험 정신이 담겨 있으며, 《중용주자혹문》 등의 학문 관련 자료들을 담은 〈학學: 배움의 여정〉은 배움의 실천으로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고자 한 지식인들의 열망을 보여 준다. 마지막 장인 〈교校: 120년, 이상을 현실로 만들어온 시간〉은 격변의 현대사 속 민주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투쟁의 역사와 함께 최초의 무인 자동차, 한국형 인공심장 등 고려대학교가 이뤄낸 여러 기술적 성과를 다룬다. 많게는 한 페이지가 넘는 분량으로 작성된 작품 해설은 작품의 외형이나 내용, 그것이 만들어지고 쓰일 당시의 역사적 상황, 유사한 작품들과의 관계 등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어 사전 지식이 없는 독자들도 그 역사적 배경과 가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 장에 수록된 논고에서는 특별히 고려대학교가 보유한 자료에 대한 기증과 수집의 역사도 함께 서술하고 있다. 해당 논고에는 고려대학교의 창립자인 인촌 김성수 선생이 수집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수집 방식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에 유물을 기증한 분들에 얽힌 뒷이야기와 수집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사고 등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어 고려대학교가 수많은 유물을 보유하기까지 들인 노력의 과정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무엇보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박물관이 보유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120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는 단순한 전시 도록을 넘어, 고려대학교의 학문과 정신, 그리고 문화유산을 한 권에 담은 지식과 미학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120년간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한 수많은 이들의 노고를 기억하고, 앞으로 펼쳐질 고려대학교의 미래 또한 함께 상상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기념사
개교 120주년 특별전을 기념하며
발간사
도서관의 가치를 넘어
120년의 高·動, 미래지성을 매혹하다
高 [고]
麗 [려]
大 [대]
學 [학]
校 [교]
논고
기증을 통해 본 고려대학교도서관 장서 개발의 역사
고려대학교박물관 자료 수집의 역사와 의의
저자 : 고려대학교도서관 · 고려대학교박물관 엮음
...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