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의 문학이라 할 수 있는 歌辭는 형식이나 내용에 여러 복합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한국고전문학 중에서 그 특성 파악이 가장 힘드는 장르라 할 수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歌辭를 통하여 조선조 사대부들과 서민들의 삶의 애환과 의식세계를 표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제5부로 엮어진 본서는 제1부 서설편에서 가사의 개념과 기존 詩歌辭의 검토를 하고 있으며, 제2부 가사문학의 생성편에서는 고려시가와 가사와의 관계를 밝혀 가사문학의 생성요인을 항목별로 나누어 자세히 분류, 고찰하고 있고, 제3부에서는 歌辭 형식의 특성과 내용분류의 양상을 살펴보고 있으며 제4부와 제5부에서는 歌辭를 임진왜란을 계기로 각각 전기가사와 후기가사로 구분하여 그 시적 변화양상을 각 항목별로 면밀하게 고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말
제1부 序 說
Ⅰ. 歌辭의 槪念
Ⅱ. 기존 시가사의 검토
제2부 歌辭文學의 生成
Ⅲ. <歷代轉理歌>의 眞僞
Ⅳ. 懶翁作 歌辭의 眞僞
Ⅴ. <西往歌>와 <僧元歌>의 比較
Ⅵ. 歌辭文學 生成論
Ⅶ. 古典詩歌 장르의 交涉樣相
제3부 形式과 內容
Ⅷ. 歌辭의 分節
Ⅸ. 歌辭文學의 內容分類
제4부 前期歌辭
Ⅹ. < 仰亭歌>의 構造
?. <關東別曲>의 空間
?. 朝鮮朝 前期歌辭에 나타난 人間像
ⅩⅢ. 歌辭에 나타난 中國人名
제5부 後期歌辭
ⅩⅣ . 壬辰倭亂과 歌辭
ⅩⅤ . 李邦翼의 <漂海歌>
ⅩⅥ . 閨房歌辭에 나타난 말의 아름다움
ⅩⅦ . 相思和答歌類 歌辭
ⅩⅧ . 燕行歌類에 나타난 中國
ⅩⅨ . <日本留學歌>
저자 : 정재호
경북상주출신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역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장 역임 한국고전문학회 회장 역임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역임 현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논저 및 논문 <가사문학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 통문관, 1977. <한국문학개설>(공저), 형설출판사, <1980.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2.한국잡가전집 I-IV> (편저), 계명문화사, <1984.백두산설화연구>(공저),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92.임진왜란과 한국문학>(공저), 민음사, <1992.주해 악부>(공주해),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92.한국가사문학강독>...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