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독일역사 인식론

저자 : 이상신

판형 : 신국판 면수 : 322 쪽

발행년월일 : 1989-03-30

ISBN : 89-7641-234-6

학술연구총서 32

가격 : 0

역사적 진실을 해명하는 작업에서 역사가가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은 스스로 객관적 인식태도를 유지하는 일이다. 그러나 인식주체가 자신의 관점과 주관성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는 없는 일이므로 역사가에게서 완전한 객관성을 기대하기란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진실의 파악작업은 단념될 수밖에 없는가? 여기에서 우리는 역사사실에 대한 역사가의 인식의 경지, 즉 그의 인식 관점과 주관성, 나아가서는 역사진행에 대한 그의 이해를 분석함으로써 사실의 진실에 접근해 보고자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역사가의 관점과 주관성이란 바로 그의 당파성이다. 그리고 이것은 사실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저해적인 작용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작용도 한다. 그러므로 역사가의 당파성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바로 위와 같은 인식 위에서 19세기 독일 역사가들의 현실적인 당파성을 분석하면서 당파성과 객관성에 대한 그들의 개념적 이해를 정리했다. 진실의 파악은 역사가의 「자기해소」적인 객관성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의 정당한 당파성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 것일지대, 당파성은 객관성에 대한 반대개념일 수만은 없다.

머리말
서론
I. 18세기말의 객관성과 당파성의 개념
1. 클라데니우스
역사인식과 서술의 한계성/ “보는 각도”/ “젊어진 역사”/ “역사의 변형”/ “당파적” 설명과 “비
당파적” 설명/ 당파적 설명의 극복방법과 한계
2. 젬러
개체사상과 인식의 진보/ 당파적 역사서술의 동기/ 객관적 서술을 위한 “초당파성”/ 인식의진
보와 역사적 판단의 형성
II. 19세기초의 당파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3. 니부르
언어학적 비판적 방법/ “통일적”인 서술/ 주관적 관찰의 경계/ 당파성의 극복을 위한 “작용사
적” 관찰/ “역사 그 자체”를 위한 비당파성
4. 라우머
계몽사상적 역사이해에서의 주관적 서술/ 당파적 견해의 극복을 위한 “독자성”/ 객관적 서술
을 위한 “양심”
5. 랑케
특수적인 것과 보편적인 것/ “필연성”과 “신성”/ 국가와 권력/ 진실과 객관성, (a) “현재적 관
심”과 “당파적 견해”, (b) 객관성과 “비당파성”
III. 계몽사상적 전통에서의 당파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
6. 로텍
계몽사상적 역사서술에서의 현재적 관심/ 당파성의 이중적 의미/ 계몽사상적 역사학에서의 당
파성/ 진실 추구를 위한 보충점으로서의 “열정과 생”
7. 슐로서
“관조”와 “직접활동”/ 당파성의 극복을 위한 “주관적” 처리/ 주체성으로서의 도덕체계/ 도덕
체계와 비도구적인 현재인식과의 결속
IV. 현실주의에로의 전환과정에서의 당파성개념
8. 게르비누스
“계획의 통일성”과 “세계관”/ “역사이념”의 파악과 “불편부당성”/ 주관성과 객관성의 균형적
응용/ 현재진단과 미래희망 위에 선 당파참여
9. 호이서
부정적 의미의 “당파정신”/ “생의 역사가”/ 긍정적 의미의 당파성/ 현재인식과 당파참여
V. 현재인식 및 미래희망과 당파성
10. 드로이젠
역사의 연속성/ 현재인식과 역사서술/ 진리와 역사가의 “통찰”/ 객관성의 부인/ 자기의식과
관점으로서의 당파성/ 이성의 당파
11. 지벨
인식주체와 역사사실/ 이해론과 법칙개념/ 현재인식과 당파참여/ 당파성과 객관성
12. 트라이츠케
정치사의 의미/ 현재인식과 관점으로서의 당파성/ 당파성과 객관성/ 현재인식과 미래희망
결론 : “이성의 당파”
참고문헌

저자 : 이상신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 및 대학원 석사(1970) 서독 빌레펠트(Bielepeld)대 역사이론전공 철학박사(1976)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조교수(1976)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 및 서학과 교수(1985-2007) 한국서양사학회 회장(1996. 6-1998. 5) 저서 《19세기 독일역사 인식론》(1989)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1999[공저]) 《서양사학사》(1993/2001) 《역사학 개론—역사와 역사학》(2005) 역서 《역사의 이론과 역사》(베네데토 크로체, 1993) 《세계사적 성찰》(야코프 부르크하르트, 2010) 《세계시민주의와 민족국가》(프리드리히 마이네케, 2007[최호근 공역]) 《역사학》(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2010)...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