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정치사론 – 통일국가의 확립과 독립왕국의 시련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자 : 민현구

판형 : 신국판 면수 : 374 쪽

발행년월일 : 2004-05-15

ISBN : 89-7641-515-9

인문사회과학총서 57

가격 : 17,000

한국사 속의 고려사
우리 민족사에 명백히 존재하는 ‘高麗’라는 국호는 어쩌면 그 자체만으로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응하는 우리 쪽의 가장 유력한 논거 가운데 하나일지 모른다. 중세의 우리 선조들이 스스로를 고구려의 후예로 인식했다는 부인할 수 없는 증거가 될 테니까.
저자는 고려시대가 우리 역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지닌다고 말한다. 고려가 새롭게 통일왕조를 확립함으로써 비로소 한국은 단일한 국가와 문화를 지닌 역사공동체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시대에 이룩한 빼어난 문화적 성취가 한국사를 다채롭게 해준 것은 물론이다. 끝내 조선에게 역사적 전통을 넘기고 말았지만, 심각한 정치사회적 갈등과 복잡한 대외관계의 시련을 견디면서 거의 500년 동안 왕조체제를 지속시킨 고려의 중요성은 간과될 수 없다.
이 책《高麗政治史論》은 고려사의 작은 한 귀퉁이를 추적한 것으로 특히 고려가 국가적 통일을 굳혀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뒤에는 내외의 도전과 위협 속에서도 끝내 독립왕국의 지체를 지켜 나간다는 맥락에서 그 정치적 흐름을 살핀 것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민현구 교수가 이전에 발표한 논문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통일국가의 확립과 독립왕국의 시련
고려는 후삼국의 분립상태를 극복하고 새로운 통일국가로 대두하였고, 당시 동아시아세계에서 뚜렷한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여 국가적 독립과 자존을 지켜나갔다. 그 후 무신란과 몽고 침입의 내우외환을 당하여 위기에 봉착하였으나, 그동안 축적된 국민적 일체감과 고양된 문화의식을 바탕으로 오히려 국가적 통일성과 자주적 민족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고려는 오랜 대몽항쟁 끝에 元의 부마국으로 전락하여 국가적 독립성에 큰 손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무렵 유례 드물게 독립왕국의 지체를 지킨 고려는 상당한 제약 속에서도 독자적인 국정운영을 펼쳐나갔고, 끝내 반원(反元)운동을 통해 자주권을 회복하였다.
이상과 같은 골격 속에서 통일과 독립에 치중하여 고려정치사를 추적한 것이 이 책의 대강 모습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고려 멸망기 약 30년 동안의 정치적 격동을 훑어보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 저자는 “그것은 고려가 駙馬國으로 떨어졌다가 온전한 독립왕국으로 복구되는 것을 하나의 큰 단락으로 설정한 때문이고 또 이 시기는 조선 건국의 준비기로서 조선정치사의 서두에서 취급할 대상이라는 생각”에서였다고 밝히고 있다.

▪책머리에

Ⅰ. 序 說

▪高麗 政治史의 전개
1. 高麗의 성립과 門閥貴族政治의 전개
2. 武臣亂과 무신정권
3. 駙馬國體制와 權門勢族

▪統一과 獨立의 政治史에 대한 接近 方向
1. 머리말
2. 새 統一王朝로서의 高麗와 그 正統性
3. 內憂·外患과 統一國家의 정치적 성장
4. 駙馬國의 非自主性과 獨立王國의 歷史性
5. 맺음말

Ⅱ. 새로운 統一國家의 成立

▪韓國史에 있어서 高麗의 後三國 統一
1. 머리말
2. 統一新羅의 붕괴와 後三國의 分立
1) 統一新羅의 등장
2) 統一新羅社會의 붕괴
3) 後三國의 分立
3. 高麗의 건국과 後三國의 통일
1) 高麗의 建國
2) 統一의 指向과 北進政策
3) 聯羅攻濟策과 統一戰爭
4) 後三國의 統一과 새 統一王朝의 成立
4. 高麗 통일정책의 基底
1) 인심수습책의 강구
2) 豪族聯合政策의 실시
3) 佛敎勢力의 포섭
4) 對中國外交의 강화
5. 맺음말

▪高麗前期의 對外關係와 國防政策
-文宗代를 中心으로
1. 머리말
2. 긴장과 평화 속의 對外關係
3. 적극적 國防政策의 추진
4. 國防政策의 中樞機構로서의 都兵馬使
5. 맺음말

Ⅲ. 葛藤, 抗爭과 國家的 統一性

▪妙淸亂의 원인
1. 妙淸亂의 문제점
2. 정치적 배경:李資謙亂의 여파
3. 국제환경의 영향:金의 흥기와 對外政策의 갈등
4. 地理圖讖 思想의 영향력
5. 西京勢力의 동향
6. 妙淸亂의 재음미

▪고려 武臣政權의 政治的 유산
1. 머리말
2. 武臣政權期의 의미
3. 武臣政權期의 정치적 變革
4. 武臣政權의 붕괴와 王朝體制의 계승
5. 맺음말

▪蒙古軍·金方慶·三別抄
1. 머리말
2. 蒙古軍의 침입과 高麗人의 항전
3. 崔氏武臣政權의 전복과 對蒙策의 변화
4. 金方慶과 三別抄의 비극적 대결
5. 맺음말

▪高麗中期 三國復興運動의 역사적 의미
1. 머리말
2. 새 統一王朝의 여러 갈등 요인
3. 혼란의 시대에 펼쳐진 三國復興運動
4. 民族的 自主意識과 國家的 統一性
5. 맺음말

Ⅳ. 外壓의 試鍊과 獨立王國의 存立

▪權門勢族과 新興士大夫
1. 머리말
2. 權門勢族의 대두
3. 新興士大夫의 성장
4. 王朝交替의 구현

▪元 干涉期 高麗의 정치양태
– 國王 不在中의 국정운영을 통해 본 王朝體制의 지속성
1. 머리말
2. 高麗 駙馬國體制의 형성
3. 忠宣王代 국왕의 長期滯元과 遙領統治
4. 忠肅王代의 王位空白事態와 國政機能의 지속
5. 맺음말

▪13~14세기 東아시아世界市民으로서의 李齊賢
1. 머리말
2. 13~14세기 東아시아세계 속의 高麗
3. 東아시아세계를 무대로 한 활동
4. 맺음말

▪益齋 李齊賢의 政治活動
– 恭愍王代를 中心으로
1. 머리말
2. 恭愍王의 推戴 運動
3. 恭愍王 卽位初의 활동
4. 反元運動과 李齊賢
5. 맺음말

▪政治家로서의 恭愍王
– 在位 前半期의 反元政策에 보이는 改革君主로서의 면모
1. 머리말
2. 質子生活 속의 政治構想
3. 改革君主로의 등장
4. 反元政策의 단행
5. 改革의 좌절과 새로운 摸索
6. 맺음말

▪新主(德興君)와 舊君(恭愍王)의 對決
– 元의 國王廢立 획책에 대한 高麗의 軍事的 대응
1. 머리말
2. 元의 恭愍王 廢位 조치
3. 德興君 및 元軍의 침입과 高麗의 군사적 대응
4. 恭愍王의 勝利와 元의 敗退
5.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 : 민현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사학과(국사 전공)를 수료하였으며 전남대와 국민대 교수를 지냈다. 震檀학회장, 역사학회장, 국사편찬위원을 역임하였다. 논저로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한국연 구원, 1983), 《史料로 본 한국문화사-고려편》(공편저, 일지사, 1984), 《譯註 경국대전》(공역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1986), 《高麗政治史 論》(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한국중세사 산책》(일지사, 2005) 등이 있다....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