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병자에서 21세기의 주인공으로 불과 1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아시아의 병자 취급을 받아왔던 중국. 그러나 오늘날 ‘21세기는 중국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게 되었다.
중국의 발전은 한국 경제에도 직접 영향을 주어 무역과 경제면에서 한국과 중국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한국이 중국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도 중국 열풍이 불어 닥쳐 중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뜨거운 관심만큼 중국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저자는 중국 근대를 바라보는 시각에는 크게 제국주의 침략론과 근대화론이 있는데 이 두 견해는 모두 나름대로의 장점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지만 중국 사회의 변화를 한쪽 면에서만 조망한다는 데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근대 중국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현실적으로 부정할 수 없는 서양세력의 영향을 인정하면서 중국이 서양의 문화적 충격을 어떻게 흡수하여 변화시켰는가 하는 실제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전통과 근대의 접목을 통해 발전한 중국 농촌 《근대중국 농촌사회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중국 농촌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식민지 반봉건 사회론의 주요한 논거인 지주․소작관계를 분석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한다. 저자는 주로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에 비판의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지만 근대화론에 대해서도 일정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 보완하고 그 뒤 발표된 논문을 보충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으로 구체적인 도표를 자료로 제시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근대 중국 농촌은 자연경제 상태에 머물러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근대 서양 문화의 영향 아래 정치 ․사회․경제적 관계를 확대해 나갔으며, 전통과 근대의 접목을 통해 나름대로 능동적으로 변해 갔다. 즉 중국 농촌사회를 빈곤과 억압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농민들이 현실의 변화에 대해 어떤 선택을 했고, 어떻게 적응해갔는가 하는 관점에서 서술한 것이다. 중국 근대화 150여 년의 과정 속에서 오늘날 중국 발전의 인과관계를 찾아보려는 노력은 과거의 문제가 오늘날에도 되풀이된다는 사실에서도 필요하지만,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와 전통과 근대의 변용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오늘날 중국의 변화를 직접 다루지는 않았지만 중국 근대화 과정의 문제점과 그 연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서 론
1. 지역과 시기
2. 중국 농촌문제에 대한 몇 가지 쟁점
3. 연구의 동향과 자료
제2장 강남의 자연환경
1. 자연환경
2. 사회환경
제3장 지주와 소작관계
1. 토지 소유권의 분배
2. 지주.소작관계의 변화
3. 소작료
viivi제4장 지주층의 변화
1. 지주권력의 약화
2. 지주의 농업경영
3. 지주층의 변화
제5장 농민층의 변화
1. 농민의 생활양태
2. 농민의 겸업화 현상과 유동성의 증가
3. 가족관계와 의식의 변화
제6장 농업경영
1. 소농경영의 취약성
2. 농업 생산력의 정체
제7장 상품경제의 발전과 강남 농촌
1. 농촌 상품경제 발전의 원인
2. 농촌 상품경제의 발전
3. 농촌 상품화의 추세
제8장 시장과 시진의 발전
1. 시장의 발견
2. 시진의 성장과 쇠퇴 – 우시와 쑤저우의 사례분석
제9장 농촌부업
1. 농촌부업의 비중
2. 농촌부업의 추세
3. 농촌부업의 성격
제10장 농촌금융과 그 변화
1. 농민의 금융조달 방법
2. 농촌의 전통 금융기관
3. 농촌금융의 고갈과 농촌 금융기관의 변화
제11장 난징국민정부의 농촌정책
1. 감조정책과 토지법
2. 농촌에 대한 통제 강화
3. 농촌진흥 정책
제12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