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왜 자살을 생각하게 되었는가 -자살시도 요인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질적 연구

저자 : 박용익

판형 : 신국판 면수 : 584 쪽

발행년월일 : 2015-08-31

ISBN : 978-89-7641-887-6 93330

단행본 

가격 : 36000

자살시도의 핵심적 요인은 가족, 연인 또는 부부, 친구, 직장동료 간의인간관계의 문제이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인과의 의사소통 단절 의 문제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근 30년 사이에 자살자의 수가 거의 5배 로 급증한 것의 근본적인 이유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공동체적 삶의 해체와 이른바 ‘무한 경쟁’으로 변질된 인간관계 그리고 의사소통의 단절에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보게 한다. 특히 의사소통이 자살시도의 핵심적 요인의 하나로 작용한다는 사실은 의사소통이 단순히 정보전달의 수단을 넘어서, 인간 생명의 존재론적 토대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이 연구의 필요성을 자살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대처의 문제와 관련하여 언급했다면, 언어학과 질적 연구 방법론의 차원에서도 이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이야기 또는 텍스트 분석에 대한 언어학적 이론과 연구 방법론은 이미 많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실제의 이야기나 텍스트를 전적으로 분석한 경우는 매우 드물고, 더 나아가서 특정한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텍스트나 이야기를 분석하고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박용익 2012). 그러므로 언어학적 이야기 분석을 통해서 자살이라는 한국 사회의 당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을 위한 대안의 발판을 제시함으로써, 언어학적 이야기 연구가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이 연구의 필요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많은 경우 질적 연구는 이야기로 이루어진 텍스트 자료를 토대로 하지만 분석의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객관성은 항상 논란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한계는 이야기나 텍스트에 대한 이론이나 정밀한 분석 방법론을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 연구 방법론을 접목함으로써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언어학적 연구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융합한 언어학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1 들어가는 말
1.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책의 구성

2 질적 연구를 위한 언어학 이론
2.1. 텍스트언어학
2.1.1. 텍스트언어학과 텍스트의 이해
2.1.2.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방법론
2.1.2.1. 텍스트의 거시구조(macro structure) 이론
2.1.2.2. 발화수반력 위계구조(illocutionary hierarchy) 이론
2.2. 언어학적 이야기 분석
2.2.1. ‘이야기’의 개념 정의
2.2.2. 이야기의 구성적 자질과 인식 지표
2.2.3. 이야기의 원형
2.2.4. 이야기텍스트 유형학적 특성
2.2.5. 이야기텍스트의 구조와 구성요소
2.2.6. 이야기텍스트의 의미와 기능구조
2.3. 언어학적 질적 연구 방법론의 특성

3 분석 방법론
3.1. 연구자료
3.2. 질적 텍스트 분석의 방법과 절차

4 개인사례별 자살시도 체험과 자살 요인
4.1. 김명관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2. 안정희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3. 장영복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4. 우지선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5. 한정연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6. 이재득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7. 조혜란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4.8. 장주현 씨의 상담에 나타난 자살시도 요인

5 자살시도 요인의 범주별 특성과 상호 관련성
5.1. 자살시도
5.2. 자살체험
5.3. 성장과정
5.4. 이성관계 또는 결혼생활
5.5. 가족과의 관계
5.6. 직업생활
5.7. 자아규정
5.8. 행동성향
5.9. 인간관계
5.10. 현재 상황
5.11. 의사소통
5.12. 보호요인

6 연구 결과의 의미와 활용 가능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 박용익

1962년 고양시에서 태어났으며, 단국대학교 독 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 대학교에서 일반 언어학, 독일 언어학, 고전 중국어학으로 박사 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소의 연구교수, 서울대 인문학연구원의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프로젝트 팀과 서울대 인문대학의 ‘질병체험 내러티브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다학제적 연구’ 프로젝트 팀의 전임 연구원,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초빙교수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독일어권 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서 ‘의료기관 구성원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이상적 의사소통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대화분석, 텍스트 언어학, 이야기 분석, 의사소통 교육, 의료커뮤니케이션 등이고, 사회의 여러 영...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