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촌강 싸움을 고대제국주의전쟁설로 보는 견해는 근대 일본이 추구하던 제국주의를 고대에 투영시킨 것으로, 완전히 사료에 대한 왜곡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일본 역사 교과서에 백촌강 싸움의 고대제국주의설의 잔영이 그대로 드리워져 한일 간 역사 교과서 분쟁의 원천이 되고 있고, 동아시아 세계가 지역적 협력관계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하루 빨리 역사 왜곡이 극복되어 한일 간 역사 교과서 분쟁이 종식되고 동아시아 세계가 화합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1. 백촌강 싸움과 그 역사적 의의
1) 백촌강 싸움
2) 백촌강 싸움의 배경과 동아시아 세계
3) 한반도의 통일과 동아시아 세계의 정립
결어
2. 백촌강 싸움 전야의 동아시아 정세
1)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정세의 개관
2) 백제의 對신라 공세와 동아시아 정세의 변화
3) 당의 고구려 원정
4) 야마토 정권의 친백제 정책 회귀와 당의 고구려 원정 재개
결어
3. 大化改新의 주도 세력과 대외정책
1) 개신정권 수뇌부의 대립
2) 개신정권 내부의 세력 교체
3) 개신정권의 대한반도 정책
결어
4. 백촌강 싸움-출병 과정을 중심으로
1) 백촌강 싸움 구도 형성
2) 복신의 구원요청과 출병 준비
3) 출병의 명분
결어
5. 백촌강 싸움과 대륙관계의 재개-신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1) 신라와 당의 한반도 분할 약속
2) 당과 신라의 불화
3) 백촌강 싸움 패배 후 일본과 신라의 과제
4) 일본과 신라의 국교 재개
5) 대외정책의 전환
6) 친신라 정책으로의 전환
결어
6. 백촌강 싸움과 일본의 대륙관계의 재개-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 당·일의 접촉
2) 대당 관계의 회복
3) 대당 관계의 정립
결어
7. 백촌강 싸움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고대제국주의전쟁설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1) 문제 제기
2) 제설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3) 백촌강 싸움 전야 개신정권의 상황
4) 백제 구원군의 출병과정을 통해서 본 백촌강 싸움의 성격
5) 참전의 목적을 통해서 본 백촌강 싸움의 성격
결어
8. 고대 일본의 도일 한인 집단에 대한 정책
1) 도일 한인
2) 5세기 초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의해 도일한 한인들에 대한 정책
3) 7세기 말 백제 멸망에 따른 도일 한인들에 대한 정책
4) 도일 한인들에 대한 임신란(672) 이후의 정책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