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수, 한운석 엮음

[엮은이 및 필진]

김신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주요 논저 — “A peek into the Galapagos of the medical research field.” The Lancet, 2016; “Mid-Term Strategic Plan for the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Coope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Med Sci., 2024; 《통일미래학개론》(공저), 박영사, 2024.

김종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주요 논저 — 《중국 경제학 입문》, 문진, 2020; 《남북 그린데탕트 구현을 위한 과학기술협력 전략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2; 《남북공동경제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과학기술 전략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3.

김진환
국립통일교육원 교수
주요 논저 — 《북한위기론 — 신화와 냉소를 넘어》, 선인, 2010; 《동북아시아 열국지 1》, 선인, 2012; 《동북아시아 열국지 2》, 선인, 2013; 《대한민국 평화기행》(공저), 창비교육, 2021; 《섬으로 간 전쟁, 섬에서 만난 평화》, 열린책들, 2023.

박상수
고려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 논저 — 〈中共 100년의 마오와 마오이즘 — 기원, 해석, 전유〉(2021); 《동아시아, 인식과 실재 — 전시기(戰時期)에 대한 조명》(공편), 아연출판부, 2014; 《중국혁명과 비밀결사》, 심산, 2006.

케어스틴 브뤽베(Kerstin Brückweh)
Berliner Hochschule für Technik 교수
주요 논저 — Menschen zählen. Wissensproduktion durch britische Volkszählungen und Umfragen vom 19. Jahrhundert bis ins digitale Zeitalter(Oldenbourg/deGruyter Verlag: Berlin/Boston, 2015); Die lange Geschichte der „Wende“. Geschichtswissenschaft im Dialog, C.H.Links Verlag(제2판, 2020)(한국어판 《전환의 긴 역사 — 대화와 기억을 통해 본 독일통일》, 2024).

유진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
주요 논저 — 《독일로 간 광부 간호사 — 경제개발과 이주 사이에서》(공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독일의 직업교육과 마이스터제도》, 학이시습, 2015.

이동기
강원대학교 평화학과 교수
주요 논저 — Option oder Illusion?: Die Idee einer nationalen Konföderation im geteilten Deutschland 1949-1990(Berlin, 2010); 《비밀과 역설 — 10개의 키워드로 읽는 독일통일과 평화》(아카넷, 2020); 《현대사 몽타주 — 발견과 전복의 역사》(돌베개, 2018).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논저 — 《분단 너머 마음 만들기》(공저), 사회평론 아카데미, 2019; 《북한 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통일연구원, 2003; 《북한 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 혁명구호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2.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주요 논저 — 《과학기술로 읽는 북한 핵》, 생각의 나무, 2005; 《남북 과학기술분야 교류협력 20년의 성과와 향후 확대추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8; 《중국의 우주굴기》, 지성사, 2020; 《북한의 핵패권》, 인문공간, 2023.

정영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주요 논저 — 〈김정은시대, 기억의 정치〉(2003), 〈구조적 종속과 자율성의 한계 — 남북관계에 대한 고찰〉(2022), 《김정은의 전략과 북한》(2001), 사회평론(공저),

최현덕
독일 튀빙겐대학교(Eberhard Karls Universität Tübingen)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저 — Id-eologie. Eine Geschichte der Entstehung des gesellschaftskritischen Begriffs (Frankfurt.a.M/New York: Peter Lang Verlag, 1997); Korea — Entfremdung und Annäherung: koreanisch-deutsche Dialoge(Papyrus Verlag: Köln, 2007)(공저); 〈독일 시민사회에서 전개된 한국 민주화를 향한 연대 운동〉, 《기억과 전망》 통권 49호, 2023.

라이 콜모르겐(Raj Kollmorgen)
Hochschule Zittau/Goerlitz 교수
주요 논저 — Diskurse der deut- schen Einheit: Kritik und Alternativen(공저),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2011; Ostdeutschland: Beobachtungen einer Übergangs- und Teilgesellschaft,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2005; Ferne Eliten: Die Unterrepräsentation von Ostdeutschen und Menschen mit Migrationshintergrund, Springer, 2024.

카이 프로벨(Kai Frobel)
BUND für Umwelt und Naturschutz Deutschland
주요 경력 — 1989년 12월 녹색벨트 창립, 2017년 독일 환경상 수상, 바이로이트대학교 생물지리학과 명예교수

팔크 핑엘(Falk Pingel)
전 Georg-Eckert-Institut
주요 논저 — 교과서연구와 수정에 관한 유네스코 안내서, 동북아역사재단 2009(UNESCO Guidebook on Textbook Research and Textbook Revision, Paris) UNESCO, 1999; Grenzgänger. Transcending Boundaries: Essays by Falk Pingel, Georg –Eckert-Instotut, 2009; History Education and Reconciliation: Comparative Perspectives on East Asia(공저), Frankfurt a.M. 2012.

한상민
한림대학교 글로벌협력대학원 객원교수
주요 논저 — Utilization of ICT in Disaster Mana- gement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A Case Study in Guimaras Island, Philippines. As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AJIC), 2022; 〈지구적 기후변화와 도시의 대응 — 기후친화적 공동체를 향한 베를린의 도전과 여정〉, 《문명의 위기를 넘어》, 학자원, 2022; 〈그뤼네스 반트(Grünes Band), 냉전의 경계선을 생명과 평화의 공간으로 — 독일 통일 후 그뤼네스 반트의 발전 과정과 정책 현황〉, 《한독 사회과학논총》, 2019.

한운석
독일 튀빙겐대학교(Eberhard Karls Universität Tübingen)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주요 논저 — 《독일의 역사화해와 역사교육》, 신서원, 2008; 《가해와 피해의 구분을 넘어 — 독일·폴란드 역사 화해의 길》, 동북아역사재단(공저), 2008.

허은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주요 논저 —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민족주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 소명출판(공저), 2017;《냉전과 새마을》, 창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