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임 페렐만은 브뤼셀 자유대학의 교수였으며, 논증이론과 정의 개념을 발전시킴으로써 현대사상의 형성에 크게 공헌하였다. 마넬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전개된 페렐만의 논증 이론이 냉전의 해체와 더불어 세계가 직면한 난관들을 극복해 보려는 오늘의 우리에게 필요한 논리라는 것을 이 책에서 보여 주려 한다. 한편으로는 헤겔주의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변증법적인 합리성을 묵수하려는 합리주의자들의 교조적 태도, 다른 한편으로는 ‘포스트모던’ 문화의 회의적 상대주의라는 양자택일의 극단적 사고를 거부하고, 증명이 지니는 강제적 특성과 물리적 구속력을 배제한, 덜 절대적이며, 보다 중용적인 올바른 이성, 즉 어떤 선택이 다른 선택보다는 낫다는 점을 설득하도록 해주는 올바른 이성이라는 개념이 자리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성에 대한 이러한 다원주의적 관점은, 페렐만이 유대계로서 지녔던 지적·실존적 배경에 따른 정의 개념과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저자 마넬리는 놀라울 정도로 명쾌하게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신수사학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들에게 필수적인 체계적 관점과 철학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서문―기 아르셰르G. Haarscher
제1장서론―새로운 사상
1. 페렐만의 정신적 퍼스낼리티
2. 사회적 적대관계와 신수사학
제2장신수사학의 기원과 토대
1. 초기의 딜레마―이성과 도덕
2. 합리적인 것과 이성적인 것―단일주의와 다원주의
3. 대화와 청중
제3장신수사학과 변증법
1. 머리말
2. 모순과 상식에 관한 변증법과 수사학
3. 신수사학과 다원주의적 변증법
4. 신수사학에 있어서 변증법적 구조에 나타난 대화
5. 타협과 회의주의가 가진 수사학적·변증법적 의미
제4장권력과 권위에 대한 수사학적 견해
제5장논증의 과정
1. 토론자 이해하기
2. 보수주의 권력의 본질
3. 논증은 흥정이 아니다―‘중도주의’의 문제
4. 청중의 합의를 얻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5. 불명확한 정치적 개념들―주권의 문제
6. 불명확한 관념들―‘방관된 현실에 대한 통찰’
7. 보편적인 관념과 구체적인 관념들
8. 카인의 새로운 딜레마
제6장정치, 법, 도덕의 새 국면
1. 새로운 도덕률
2. 정치와 도덕의 두 영역
3. 낡은 원칙과 새로운 해석
4. 선의의 문제
5. 기이한 도덕적 실용주의
제7장사회학적 법칙
1. 신수사학과 현대 유명론과 실재론
2. 모순의 수사학적 해석
제8장신수사학과 법체계
A. 법철학의 실증주의적 기초
1. 신수사학과 법실증주의
2. 법의 본질과 주권의 한계에 대한 벤담의 견해
3. 벤담의 수사학적 성찰
4. 명증과 수사학
B. 신수사학과 미국의 법학
1. 올리버 웬델 홈스―논리와 양식
2. 존 듀이의 ‘또 다른’, ‘실험적인’, 그리고 ‘융통성 있는’ 논리
C. 법 해석의 수사학적 이론
1. 사법적 기교인가 혹은 법철학인가?
2. 법 해석에 대한 기본적인 수사학적 원리들
3. 수사학적 격언―미심쩍을 때는 인권의 편에서 결정하라
D. 수사학적 법철학으로서의 실증주의적 리얼리즘
제9장페렐만의 업적―전통적 철학과 정치를 넘어
1.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사이에서
2. 페렐만의 목표―이성과 관용의 옹호
3. 새로운 합리주의를 향하여
4. 새로운 휴머니즘을 향하여
제10장신수사학은 현대의 휴머니즘이다
1. 새로운 문제들
2. 사회적 정의와 개인적 정의
3. 억압으로부터의 자유―선택과 창조의 자유
4. 관용과 프라이버시
제11장철학과 방법론으로서의 신수사학
1. 기본 전제
2. 새로운 사회적 자각
3. 새로운 세기를 위한 해답
저자 : 미에치슬라브 마넬리
Mieczyslaw Maneli 뉴욕시립대학 교수 《법실증주의와 인권》(1981) 《자유와 관용》(1984) 등의 저서가 있다. 특히《자유와 관용》은 카임 페렐만으로부터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