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재난문학과 문화

저자 : 정병호·최가형 편저

판형 : 신국판 면수 : 288 쪽

발행년월일 : 2018-12-31

ISBN : 978-89-7641-977-4 93830

단행본 

가격 : 18000

이 책 『일본의 재난문학과 문화』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 지진과 쓰나미, 태풍, 화재, 홍수 등 자연재해가 끊임없이 반복되었던 일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자연재해를 포함하여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폭탄 피폭문제, 후쿠시마(福島)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 사고, 그리고 현대의 다양한 사건들을 ‘재난’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여 다양한 문예물, 영상물에서 이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를 기술한 책이다.

굳이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이 경고한 『위험사회(Risk Society)』(1986)라는 책을 언급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근대문명이나 산업, 그리고 과학기술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이에 수반한 재난의 규모와 빈도가 확대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이상기후의 지속적 발생, 환경 파괴, 경제적 격차의 심화와 국내외 분쟁의 격화 등 자연적·인적 재난은 오히려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책의 내용은 고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다양한 재난 현상과 재난문학, 그리고 영화나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미디어 등 각종 재난 서사를 대상으로 하여 일본 재난관련 문화의 커다란 흐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의 각종 재난서사가 재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 또한 각 시대별로 재난서사의 역할과 기능이 무엇인지, 나아가 이러한 재난문학이 남긴 교훈과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책은 이들 재난서사에 관한 설명뿐 아니라, 해당 재난문학이나 재난 서사의 대표적인 작품을 발췌하여 실제 재난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부족하나마 이 재난문학의 의미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머리말 5
서장 재난문학과 일본 재난 서사의 계보
1. 재난문학이란 무엇인가?  15
2. 일본 자연재해와 재난 서사의 계보  23

제1장 일본 재난 서사의 시작
1. 중세 이전의 재난에 대한 인식  37
2. 지진은 용의 몸부림  41
3. 중세의 재난문학 작품 소개  46
(1) 5대 재난을 다룬 고전 명수필 『호조키(方丈記)』  46
(2)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의 재해 묘사와의 대조  55

제2장 재난기록의 보고(寶庫), 근세시대
1. 근세시대의 시작  61
2. 재해기록의 증가와 유통  62
3. 근세시대의 재난문학 작품소개  65
(1) 오미・사가미(近江・相模)대지진과 우키요조시(浮世草子)  65
(2) 덴메 대화재(天明の大火)와 수필문학  70
(3) 에이타이바시(永代橋) 다리 붕괴 사건과 수필문학  74
(3) 지지(地誌) 속의 재해  79
(4) 안세이 대지진(安政大地震)과 나마즈에(鯰絵)  82
(5) 소화(笑話)와 재해  88

제3장 메이지(明治)시대 자연재해와 재난문학
1. 메이지시대 자연재해와 근대적 재난문학의 성립  95
2. 메이지시대 신문의 재난 의연금 모집과 의연소설집 간행  99
3. 메이지시대 자연재해 의연소설집과 재난에 대한 인식  106
4. 메이지시대 재난문학 작품 소개  112
(1) 메이지산리쿠 거대 쓰나미와 하이쿠 문학  112
(2) 설화문학 속의 메이지 자연재해  115
(3) 메이지 자연재해와 의연소설집  117

제4장 간토(関東)대지진과 재난문학
1. 간토대지진의 특징과 정치・사회적 영향  123
2. 간토대지진의 유언비어와 조선인 학살  128
3. 간토대지진과 문학계의 전환  134
4. 간토대지진과 재난 문학 소개  139
(1) 대지진을 천벌로 보는 재난인식에 대한 반박 평론  139
(2) 재해 피난과 조선인 학살 재난문학  143

제5장 지진재해를 시가로 읊다
1. 진재영(震災詠)의 일반화  149
2. 간토대지진 진재영의 의의  150
3. 간토대지진 진재영 소개  152
(1) 간토대지진을 상세히 기록한 진재영  153
(2) 재난 시의 현실감각 상실에 관한 진재영  161
(3) 재난 속에서 보는 인간과 자연  171

제6장 원폭의 경험과 핵(核)재난 관련 서사
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와 점령군의 검열  181
2. 점령의 종료와 해금(解禁)  188
3. 비키니(ビキニ) 수소폭탄 실험과 다이고후쿠류마루(第五福竜丸)의 피폭  190
4. 원폭문학이라는 장르의 형성  192
5. 주요 작품 소개  194
(1) 하라 다미키(原民喜) 『여름의 꽃(夏の花)』(1947)  194
(2) 나가이 다카시(永井隆) 『나가사키의 종(長崎の鐘)』(1949)  197
(3) 데즈카 오사무(手塚治虫) 『다가올 세계(来るべき世界)』(1951)  200
(4) 신도 가네토(新藤兼人) 『원폭의 아이들(原爆の子)』(1952)  202
(5) 혼다 이시로(本多猪四郎) 『고질라(ゴジラ)』(1954)  203
(6) 이부세 마스지(井伏鱒二) 『검은 비(黒い雨)』(1965)  205

제7장 현대적 복합재난의 시작과 재난문학
1. 한신・아와지(阪神・淡路)대지진  211
2. 옴진리교(オウム真理教) 사건  212
3. 90년대 대형 재난 이후의 일본 사회  214
4. 한신・아와지대지진 이후의 재난문학 소개  217
(1)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217
(2) 오다 마코토(小田実) 『깊은 소리(深い音)』  223

제8장 3・11 동일본대지진과 재난 서사
1. 전대미문의 복합재해 3・11  233
2. 문학계의 자기성찰과 작가들의 의식 전환  238
3. 새로운 말의 탄생  240
4. 3・11 이후 재난 서사의 의의  242
5. 3・11 이후의 재난문학 소개  244
(1) 3・11과 재난 단편집 『그래도 3월은, 다시(それでも三月は, また)』  244
(2) 작가와 작품세계의 변화 가와카미 히로미(川上弘美) 『가미사마 2011(神様2011)』  247
(3) 원전사고 이후의 일본사회 다와다 요코(多和田葉子) 『헌등사(献灯使)』  252

제9장 재난과 미디어-포스트3・11 일본사회와 미디어
1. 3・11 동일본대지진 미디어 보도의 특성  257
(1) 새로운 정보 공유 방식으로의 이동  257
(2) 신뢰를 잃은 전통적 미디어  261
2. 3・11과 영화미디어  264
(1) 극영화와 재난-3・11 동일본대지진이라는 실재를 그리는 허구적 상상력  264
(2) 3・11 동일본대지진과 다큐멘터리  269
3. 만화와 애니메이션  273
(1) 출판계의 타격과 온라인 서비스  273
(2) 치유의 서사와 대중미디어 산업  275
4. 주요 작품 소개  278
(1) 『311』(2011)  278
(2) 『도호쿠 기록영화 삼부작』(東北記録映画三部作) (2011)  280
(3) 『두더지(ヒミズ)』(2012)  282
(4) 『맛의 달인(美味しんぼ)』110, 111권 (2014)  285

 

저자 : 정병호·최가형 편저

정병호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최근에는 주로 ‘식민지 일본어 문학’과 ‘한일 재난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재난문학 관련으로 논문 「메이지(明治)시대의 자연재해와 의연(義捐) 행위로서의 재난문학」(『비교일본학』, 2018.6), 공역서 『간토(関東)대지진과 작가들의 심상풍경』(역락, 2017.8) 등이 있다. 엄인경 고려대 글로벌일본연구원 부교수. 일본고전문학 전공 최근에는 주로 ‘식민지 일본어 시가문학’과 ‘한일 재난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재난문학 관련으로 논문 「일본의 재난시가에 관한 연구」(『일본언어문화』41, 2017.12), 공역서 『시가로 읽는 간토(関東)대지진』(역락, 2017.8) 등이 있다. 편용우 전주대 일본언어문화학과 조교수...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