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실험과 도덕

저자 : 성창원, 이찬, 송효종, 윤인진

판형 : 변형 신국판 면수 : 196 쪽

발행년월일 : 2025-02-28

ISBN : 979-11-6956-103-7 03800

단행본 

가격 : 15,000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처럼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여기서 이야기하고 있는 ‘정치적’이라는 말의 뜻은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권모술수에 능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공동체를 이루며, 그 안에서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는 동시에, 공동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이다. 인간은 무엇이 옳은지, 어떻게 하면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지 등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실험을 통해 공동체를 발전시키며 성장해 왔다. 앞으로도 이러한 실험은 계속될 것이다. 그 과정을 기록한 여러 인문 고전들은 앞으로 우리가 당면할 도전과,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정의론
롤스의 철학을 통해 살펴보는 정의의 문제들_성창원

순자
통일을 예비한 이상적 질서_이찬

범죄와 형벌
체사레 베카리아의 생애와 사상_송효종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개인의 윤리와 집단의 도덕적 한계_윤인진

사회분업론
혼란 속에서도 사회는 왜 붕괴되지 않는가?_신은경

문체 연습
변주와 실험을 향한 무한한 텍스트_조재룡

사기
오늘 다시《 사기》를 읽을 만한 이유_송혁기

저자 : 성창원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 영미윤리학, 정치철학, 그리고 법철학을 가로지르는 주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역서로는 《도덕의 차원들》(2012)이 있으며, 계약론적 윤리학, 개인적 관계의 가치, 그리고 약속을 지켜야 하는 의무의 정당화 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more

저자 : 이찬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미국 하와이대 철학과에서 주자의 덕 윤리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의 유가사상을 도덕심리학, 덕 윤리, 덕 인식론 등 윤리학적 관점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유가사상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사상사 및 지성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Causa Sui, the Supreme Polarity, and Moral Responsibility—How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Person in Neo-Confucian Discourse〉(2022), 〈사상, 철학, 그리고 유학—송명유학에 접근하는 세 가지 경로〉(2021), 〈주희와 왕양명의 덕 윤리와 덕 인식론—시비지심과 양지를 중심으로〉(2021), 〈道德的 德性과 知的 德性—덕성 관... more

저자 : 송효종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남플로리다대학교에서 범죄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리오그란데밸리캠퍼스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학교폭력 및 청소년 일탈 문제, 온라인 공간에서의 범죄와 코로나19 이후 범죄 양상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Crime & Delinquency, Critical Crimi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등에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more

저자 : 윤인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국제이주, 자영업 및 사회이동, 인종관계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박사 후 연구원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UCSB) 아시안 아메리칸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와 교육 분야는 국제이주, 재외동포, 이민동포정책, 사회심리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On My Own—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1997),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북한이주민》(2009),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2013),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편저, 2017), 《재외동포 사회의 현황과 정책과제》(편저, 2018),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 more

저자 : 송혁기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조선시대 문학비평 및 산문 작품에 대한 연구에서 출발하여 한문 고전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오늘의 언어로 풀어서 나누는 영역으로 글쓰기를 확장하고 있다. 저술뿐 아니라 신문 칼럼 연재와 강연 등을 통해 인문학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이다. 주요 저서로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2006), 《나를 찾아가는 길—혜환 이용휴 산문선》(공저, 2014), 《농암집—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2016), 《고전의 시선》(2018), 《나만이 알아주는 나—조귀명 평전》(2021), 《Anthology of KOREAN Classical Prose》(공저, 2025) 등이 있다.... more

저자 : 신은경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 사회학과에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의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저항의 형태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컬럼비아 법대에서 연구 교수로, 테네시 주립대학에서 펠로우로 재직한바 있다. 주로 사회 연결망 분석, 의료사회학, 건강 불평등, 관계 불평등, 인지 사회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초학제적 접근을 통해, 비전통적인 데이터 소스를 다양한 사회학적 조사에 적용하여 관계 네트워크와 사회적 조건이 사회 행동, 건강 결과 및 인간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통계, 지리 정보 시스템 및 기계 학습을 포함한 여러 분석 도구를 사용한다. 주요 연구논문들은 Natu... more

저자 : 조재룡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프랑스 현대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학과 번역학, 프랑스와 한국 문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평론을 집필하였으며 문학평론가,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시의 리듬 이론을 연구하는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2007), 《번역의 유령들》(2011), 《시는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2014), 《번역하는 문장들》(2016), 《한 줌의시》(2017), 《의미의 자리》(2018), 《번역과 책의 처소들》(2018), 《시집》(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시학 입문》(2005), 《앙리 메쇼닉, 리듬의 시학을 위하여》(2007), 《사랑예찬》(2010), 《잠자는 남자》(2013),...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