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자 : 윤인진

판형 : 신국판 면수 : 366 쪽

발행년월일 : 2004-03-10

ISBN : 89-7641-498-5

인문사회과학총서 55

가격 : 15,000

과거에는 “조용한 아침의 나라” 또는 “은자의 왕국”으로 불리던 조선의 백성들이 19세기 중엽부터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 만주와 연해주로 떠나면서 시작한 한민족의 이주와 정착의 역사는 어언 1세기 반이 되었다. 그동안 한민족은 거의 전 세계로 퍼져나가 초기 정착의 힘든 역경을 딛고 뿌리를 내리며 살고 있다. 주어진 제약조건과 기회구조에 재외한인이 능동적 행위자로서 대응하고 그 결과로서 자신들과 주위 환경이 변화해온 것이 재외한인의 이주와 정착의 경험이다.
재외한인의 경험에는 이주, 차별, 적응, 문화변용, 동화, 공동체, 민족문화와 민족정체성 등 다양한 주제들이 있다. 각각의 주제가 독립적인 연구영역이며 실제로 위의 각 주제에 대해 역사학, 인류학, 민속학, 사회학, 정치학, 경https://kupress.com/books/코리안-디아스포라-재외한인의-이주-적응-정체성/제학, 언어학 등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주제들은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인 시각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디아스포라(diaspora)”는 재외한인 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포괄하면서 그들 간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 책에서는 재외한인의 이주와 정착의 역사를 설명하고, 거주국에서의 사회문화 적응방식을 이론화하고, 민족정체성의 본질을 규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전 지구적 연대체계로서 한민족공동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재외동포정책을 모색하려고 한다.

제1장 서론
1. 디아스포라의 개념
2.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약사
3.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학문적, 정책적 의의
4. 자료와 연구방법
5. 용어 정리
제2장 이론적 고찰
1. 인종·민족집단 관계이론
2. 재외한인의 사회적응에 관한 통합이론
제3장 중국의 조선족
1. 개관
2. 이주와 정착
3.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4. 인구·지리적 특성
5. 사회경제적 특성
6. 민족정체성
제4장 독립국가연합의 고려사람
1. 개관
2. 이주와 정착
3. 민족정책과 민족관계의 변화
4. 인구학적 특성
5.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사회
6. 러시아의 고려인 사회
7. 언어상황과 민족정체성
제5장 재일한인
1. 개관
2. 이주와 정착
3. 재일한인의 법적지위와 권익운동
4. 인구지리적 특성
5. 사회경제적 특성
6. 민족정체성
7. 민족교육
제6장 재미한인
1. 개관
2. 이주와 정착
3. 인종 및 민족관계
4. 인구·지리적 특성
5. 사회경제적 특성
6. 민족정체성과 언어상황
제7장 캐나다의 한인
1. 개관
2. 이주와 정착
3. 인종·민족관계
4. 인구·지리적 특성
5. 사회경제적 특성
6. 언어상황
7. 민족정체성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제언

저자 : 윤인진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국제이주, 자영업 및 사회이동, 인종관계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에서 박사 후 연구원과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UCSB) 아시안 아메리칸학과 조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와 교육 분야는 국제이주, 재외동포, 이민동포정책, 사회심리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On My Own—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1997), 《코리안 디아스포라》(2004), 《북한이주민》(2009),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2013),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편저, 2017), 《재외동포 사회의 현황과 정책과제》(편저, 2018),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