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俳句]나 단카[短歌]는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와 더불어 가장 세계화에 성공한 일본 문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한반도에서 창작되고 유통된 수많은 단카, 하이쿠, 센류[川柳], 심지어 도도이쓰[都.逸]와 같은 일본의 전통시가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더욱이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간행된 대부분의 일간지에 시, 소설보다도 오히려 단카, 하이쿠, 센류가 주요 문예로서 수록되었고, 이러한 전통시가 관련 단행본이나 전문 잡지가 수십 종에 이르도록 다양하게 간행되었다는 사실과 그것이 한국에서는 물론 일본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측면은 새삼 놀라울 정도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한일관계의 질곡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20세기 전반기에, 한반도를 배경으로 전개되었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된 적 없는 일본어 시가문학에 대해 기술한다.
20세기 한반도에서 대규모로 창작 및 유통된 일본어 시가 문학은 식민지주의에 부응하는 부(負)의 면모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조선’과 ‘조선인’, ‘조선 문화’에 대한 우호적 이해, ‘조선’ 특유의 아름다움이나 특수성에 대한 발견, 민요나 가요와 같은 ‘조선’의 시가 문학 역시 적극적으로 연구 테마로 삼았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일본어 시가 작가들이 조선적인 것을 수립하고자 했던 조선의 대표적 문화인, 지식인들과도 소통하고 있었고, 1940년대의 이른바 ‘친일문학’ 이전에도 뜻밖에 많은 조선인들이 이른 시기부터 일본어 시가 문학 창작에 참여했던 복잡다단한 한일 문학 교류의 양상도 일정 부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 출발과 함께 시작되어 1945년 광복과 더불어 거의 단절되다시피 한 기간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의 일본어 시가 문학을 시기적 특색 혹은 장르의 특징에 따라 총 10강으로 구성했다. 이 책을 통해 일본어 시가 문학에 대한 상식과 독해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고, 문학을 통해 20세기 그리고 21세기의 한일관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시각의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5
서 – 일본어 시가의 현재성, 세계성, 그리고 한반도 11
1강 초창기 한반도 하이쿠 창작의 양상
1. 메이지[明治] 시대 일본 시가 문학과의 관련성 19
2. 부산 거류 일본인들의 하이쿠[俳句] 결사 <일일회(一一會)> 25
3. ‘외지’ 하이쿠의 초기 양상과 조선적 계어(季語)의 모색 34
2강 20세기 초 재조일본인의 자화상
1. 단카[短歌]에 그려진 일본인의 타향살이 43
2. <부산시회(釜山詩會)>의 자의식과 자부심 49
3. 한반도의 지명(地名)과 우타마쿠라[歌枕] 56
3강 혼종되는 식민지 일본어와 시가
1. 하이쿠와 단카를 짓기 시작하는 조선인 71
2. 『조선 센류[朝鮮川柳]』로 보는 1910년대 조선 풍속 77
3. 시가에 혼재되는 조선어와 일본어 80
4강 하이쿠 문단의 성립과 확산
1. 신흥 하이쿠의 이른 대두와 『가메[甕]』 85
2. 한반도 전역의 호토토기스 파와 조선인 하이진의 대두 87
3. 원산의 『산포도(山葡萄)』와 경성의 『장승(長栍)』 94
5강 한반도를 대표한 단카 잡지 『진인(眞人)』
1. 『버드나무[ポトナム]』에서 『진인』으로 107
2. ‘조선 민요’와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 113
3. <진인사> 특집호의 조선 문예관 121
4. 조선인 가인 김정록, 김석후 131
6강 경성의 잡지『센류 삼매[川柳三昧]』의 세계
1. 『센류 삼매』란 어떠한 잡지인가 145
2. <남산음사(南山吟社)>의 주요 인물과 센류 경향 153
3. 이마무라 라엔[今村螺炎]의 역할 165
7강 『까치[かち烏]』로 보는 한반도의 도도이쓰[都々逸]
1. 일본의 또 다른 정형시가 도도이쓰와 『까치』 179
2. 조선의 리요 정조(俚謡正調)와 다카노 쇼토[高野宵灯] 189
3. 가이카[街歌]와 모던 경성 196
8강 『조선풍토가집(朝鮮風土歌集)』과 경성의 풍토
1. 1930년대의 가단과 『조선풍토가집』의 탄생 및 특성 209
2. 경성의 풍토성과 모던 219
3. 단카에 담긴 경성의 역사 기억 235
9강 전쟁기 잡지 통폐합 상황하의 시가 문학
1. 1941년의 한반도 일본어 문단의 상황 249
2. <조선하이쿠작가협회>의 『미즈키누타[水砧]』 253
3. 『국민시가(國民詩歌)』와 1940년대 일본어 시가 264
4. 하이시[俳詩]로의 변모를 꾀한 1940년대 센류 277
10강 한반도의 마지막 일본어 시가집 『조선시가집(朝鮮詩歌集)』
1. 1943년 국민시가발행소(國民詩歌發行所)의 작업 287
2. 시가로 묘사된 징병제와 학도 출진 295
3. 일제 말기 전쟁 시가의 실상 303
[부록]
20세기 전반 한반도 간행 일본어 시가 문학 관련 전문 문헌 목록 315
저자 : 엄인경
엄인경 嚴仁卿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와 같은 대학원에서 일본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최근에는 20세기의 ‘외지’ 일본어 문학과 시가, 한일비교문화론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주요 저서로 《문학잡지 『國民詩歌』와 한반도의 일본어 시가문학》(2015), 《재조일본인 일본어문학사 서설》(공저, 2017), 《조선의 미를 찾다—아사카와 노리타카의 재조명》(공저, 2018), 《한반도와 일본어 시가문학》(2018)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단카로 보는 경성 풍경》(공편역, 2016), 《시가로 읽는 간토関東대지진》(2017), 《요시노 구즈〉(2018), 《일본 근현대 여성문학 전집3—요사노 아키코 2》(공편역, 2019), 《흙담에 그리다》(2019), 《이시카와 다쿠보쿠 단카...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