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케와 한국의 시인들

2007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저자 : 김재혁

판형 : 신국판 면수 : 376 쪽

발행년월일 : 2006-12-05

ISBN : 89-7641-588-4 94810

인문사회과학총서 64

가격 : 16,000

릴케와 그의 시 세계의 수용 양상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수용주체는 바로 우리나라의 ‘시인’들이다. 릴케가 우리나라 시인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우리 시인들의 시의식과 시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있는 이 책이 일깨우는 평범하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사실은, 시인들은 시의 창작자이면서 또한 시의 독자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릴케와의 관련하에 이 책이 살펴보고 있는 우리 시인들은 박용철, 윤동주, 김춘수, 김현승, 전봉건, 김수영, 박양균, 박희진, 허만하, 이성복, 김기택 들이다.
1930년대 시문학파 시인 박용철에게 릴케는 시적 창작 과정의 모범이었고, 1941년 5월 도쿄 쇼신사에서 릴케의 시집《기수 크리스토프 릴케의 사랑과 죽음의 노래》를 구입했던 윤동주는, 그해 11월에 쓴〈별헤는 밤〉에서 별 하나에 그리운 릴케의 “이름을 불러”본다. 김춘수는 대학 시절 릴케의 작품들을 찾아 “학교는 자주 까먹고 헌책방을 찾아다”니며 자신의 시 세계를 확립해 갔으며, 김현승에게 릴케는 “추구의 진실성”을 풍겨주는, “시를 누구보다 잘 아는 시인”이었다. 해방 때 18세 소년으로 소련군이 진주한 평양에서 릴케 시집을 늘 끼고 다녔고, 월남하는 뱃길의 파도 속에서 릴케의《과수원》을 꼭 품고 있었던 전봉건은 “이 시기의 내게 있어서 릴케는 시의 시작이요 끝이었다. 시의 전부였다”고 술회하며, 이성복은, 장만영의 일어판 중역을 통해 읽은 릴케의 “마리아여,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게 하소서!”라는 시구를 되새기며, “1970년대, 80년대의 험악한 시절을 지내오면서도 그 소녀들의 목소리는 내개 늘 남아 있어서, 길을 가거나 길 위에서 머뭇거리거나 주문처럼 입술 위로 새어나오곤 했다”고 고백한다. 1930년대 정지용, 김영랑과 함께 시문학파를 결성하였던 박용철로부터 지금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허만하 김기택에 이르기까지 이 시인들의 면면은 한국의 현대시사 전체에 걸쳐 있다. 이는 릴케가 한국 현대시사 속에서 우리 시인들에게 끊임없는 시적 자양이자 참조가 되어왔다는 것을 증명한다. 특정 시기나 특정 유파를 넘어 전 세대 전 시기에 걸쳐 있는 이 시인들과 릴케 간의 관계를 탐색하며 저자는 때로는 문헌학적 측면에서(박용철), 때로는 황폐해진 시대를 살아가는 한 개인의 절박한 염원에 대한 공감의 입장에서(전봉건, 박양균, 김수영), 그리고 시의식과 테마상의 유사성이나 개별적인 시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김춘수, 김현승, 박희진, 허만하, 이성복, 김기택) 각각의 시인들의 릴케 수용 방식에 접근하고 있다.
각각의 시인들의 릴케와의 관계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내적인 계기를 통한 것이지만, 이들 시인들과 한국 현대시사를 분리할 수 없는 것처럼, 릴케와 한국 시인들 간의 관계는 그 자체로 한국 현대시사의 저변을 흐르는 끊이지 않는 한 줄기였다는 것을 이 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장의 대학노트로 남아 2004년에야 발굴되어 알려진, 박용철의《라이너 마리아 릴케》(로베르트 하인츠 하이그로트)의 번역은 그 자체로 우리 번역사에 기록될 만한 한 페이지이며, 한국전쟁 이후 1950, 60년대의 극한적 인간 존재의 상황에서 하이데거와 볼노프 유의 실존주의 철학의 프리즘을 통한 릴케의 수용은 우리 지성사의 한 고비를 이룬다.
이 책이 진정으로 전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 현대시사에서의 릴케 수용 양상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시인과 시인의 만남, 그 만남을 통한 시인이 되어감에 있다.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전혀 이질적인 시인들 간의 만남을 되돌아보고 기록하고 있는 이 책,《릴케와 한국의 시인들》은 그래서 ‘모든 시인들과 한국의 시인들’의 만남을 염원하는 책이기도 하다. 그렇게 한국 현대시사는 일구어져 왔다고 할 것이다.

제1부초창기 릴케 수용의 특징―박용철, 윤동주

1장박용철의 릴케 문학 번역과 수용

1. 박용철의 번역시와 시적 수용
1) 박용철의 번역시
2) 박용철의 시에 반영된 릴케적 표현 방식

2. “시적 변용”과 박용철의 창작시
1) 체험에 의한 창작―〈시적 변용에 대해서〉
2) 릴케의 창작론의 생산적 수용―“사랑” 모티프의 경우
3) “떠남”의 모티프―무고향성Heimatlosigkeit
4) 심미의 왕국과 릴케의 유겐트슈틸의 세계

2장 새로 발굴된 박용철의 원고《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서정시》
– 초벌 번역 원고를 통해 본 박용철의 번역 태도

1. 박용철의 미발표 원고를 받아들고서
2.《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서정시》는 어떤 책인가?
3. 박용철의 초벌 번역의 특징
4. 박용철의 번역에 대한 몇 가지 고찰
5. 박용철이 우리에게 남긴 것

3장 ‘나’, 그리고 사물에 대한 사랑―릴케와 윤동주

1. 릴케와 윤동주의 문학세계의 비교를 위한 전제

2. 체험적 자아
1) 공간의 문제
2) 식물 메타포

3. 사물에 대한 사랑
1) 윤동주의〈序詩〉와 릴케의 序詩〈강림절〉
2) 시〈또 다른 고향〉―삶과 예술, 마음 닦기

제2부 김춘수의 시 세계에 반영된 릴케

4장 시적 변용의 문제

1. 시적 변용에 대하여
2. 예술작품의 창작과정―에로틱, 언어와 명명 행위
3 실존적 변용―시와 구원, 그리고 조화造花 만들기

5장 릴케와 김춘수에게 있어서 ‘천사’

1. 김춘수가 이해한 릴케의 천사
2. 릴케의 문학에서 천사는 무엇인가
3. 김춘수는 왜 천사를 말했는가
4. 천사의 모티프의 심화 과정
1) 릴케의 경우
2) 김춘수의 경우

6장 릴케의〈묘비명〉과 김춘수의 시〈장미, 순수한 모순〉

1. 릴케의〈묘비명〉
2. 김춘수의 ‘장미’

제3부 고독과 위안의 테마―김현승, 전봉건, 김수영

7장 견고한 고독의 세계―릴케와 김현승

1. 비교를 위한 전제―기독교의 신과 시인
2. 기도와 고독―詩的 眞實을 찾아서
3. 신비주의 고독에서 절대고독으로
4. 관념어의 시적 변용―관념의 물질화

8장 ‘마음’에서 ‘언어’로―김현승의 시 세계

1. 시적 어휘로서의 “마음”
2. ‘마음’에서 ‘언어’로
3. 자기연소의 언어

9장 1950, 60년대 한국 시단에 끼친 릴케의 영향
―전봉건, 박양균, 김수영

1. 전봉건이 수용한 릴케
2. 한국동란과 릴케
3. 꽃과 여인을 노래하다
4. 고독의 시인―존재론적 시쓰기
5. 김수영이 수용한 릴케―시〈美人〉과 릴케의《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

제4부 구도자로서의 릴케―박희진, 허만하

10장 구도자의 길―릴케와 박희진

1. 위안으로서의 릴케
2. 시〈릴케에게〉
3. 구도자의 길
4. 박희진의 시〈늘 끊임없는〉과 릴케의《기도시집》

11장 “존재의 용담꽃”을 찾아서―릴케와 허만하

1. 허만하와 릴케의 천사
2. 허만하의 시와 릴케
1) 실존적 고통과 언어
2) 입체적 묘사와 “사물시”
3) 이미지와 비유 그리고 “존재의 용담꽃”

제5부 독창적 릴케 읽기―이성복, 김기택

12장 이성복과 릴케 읽기

1.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2. 릴케 읽기
3. 릴케 읽기의 특징과 한계

13장 파리 시절의 릴케와 김기택의 시

1. 관찰과 발견의 시학
2. 현실의 해부학적 분석―삶과 죽음의 공존

제6부 릴케는 우리 시인들에게 무엇이었나

1. 릴케 수용의 여러 양상
2. 주로 수용된 릴케의 작품들
3. 시인별 릴케 수용의 특징
4. 릴케 수용의 한계와 과제

부록―국내에서 발간된 릴케 관련 단행본 목록

저자 : 김재혁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이며 시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에 《서정시의 미학》 《복면을 한 운명》 《릴케와 한국의 시인들》 《바보여 시인이여》 등이 있으며, 시집 《딴생각》 《아버지의 도장》 《내 사는 아름다운 동굴에 달이 진다》 등을 지었다. 《딴생각》은 한국문학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Gedankenspiele”라는 제목으로 직접 번역하여 독일에서 출간했다. 옮긴 책으로 릴케의 《기도시집》 《두이노의 비가》 《말테의 수기》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하이네의 《노래의 책》 《로만체로》, 횔덜린의 《히페리온》, 귄터 그라스의 《넙치》, 노발리스의 《푸른 꽃》, 되블린의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뮐러의 《겨울... more

댓글을 달 수 없는 글입니다.